earticle

논문검색

The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Depression and Depression in the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원문정보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Choi, Jun Ho, Kim, Tae Ky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ccording to family structural changes affect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predicted to be important mediating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cademic work skills. 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Amos 23.0 program were us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suitability indices of the X2, GFI, AGFI, NFI, CFI, TLI, RMSEA, and RMR values were us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In addition,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ping procedur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Findings/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odel, first,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sitive parenting had a negative (-) effect on academic work skills and depression and a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 effect on academic work skills,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 effect on depression, but self-esteem did not affect academic work skills. Second, in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partially mediated the academic work ability,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ed. Third, in the comparison of in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academic work skill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the indirect effect was also significant in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Implications: In order not to give adolescents a school work experience, they set new goals with their parents, who are the main caregivers, and suggested ways to achieve a smooth life by improving their learning motivation.

한국어

배경: 가족의 구조변화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어 학업무기력 경험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우울,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예측되고 있다.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간에 우울과 자아존중감 관계를 검증하기 위함 에 있다. 방법론/접근: 본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 그램을 이용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X2, GFI, AGFI, NFI, CFI, TLI, RMSEA, RMR값의 적 합도 지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절차를 통해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결과/결론: 연구모형의 결과로 첫째, 경로분석 결과로는 긍정적 부모양육은 학업무기력과 우울에는 부(-) 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는 학업무기력과 우울, 자아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존중감의 경우 우울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자아존중감의 경우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우울감은 부분 매개하였고, 자아존중 감과 우울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효과의 비교에서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 도에서 학업무기력 간 우울의 부분매개 효과에 대해서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 중감, 우울의 이중매개효과에서도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사점: 청소년들에게 학업무기력 경험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주양육자인 부모와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 고, 학습동기를 향상시켜 원만한 생활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 관계
2. 부모양육태도가 우울을 매개로 학업무기력 간 관계
3.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무기력 간 관계
4.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우울의 이중매개로 학업무기력간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2. 연구모형검증
3.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Choi, Jun Ho 최준호. Assistant Principal of Joa School, a foster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Kim, Tae Kyun 김태균.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College of Department of Child and Youth Education, Sungsan Hyo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