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대학생의 저출산에 대한 인식, 출산 결정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llege students’ will to give birth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Gangwon, Gwangju, and Daegu.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and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perception of low fertility, determinants of childbirth, and childbirth will,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childbirth will.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childbirth will are “meaningful parental recommendation for childbirth” (β=-.202), “gender equality in childcare and housework” (β=-.224), “policy support” (β=.243), and “economic burden” (β= -.314),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1.3%. Since childbirth will is not achie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stilling positive values about childbirth is necessary. In addition, a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to college students who may have a positive approach toward childbirth.. In addition, a social environment that actively supports and facilitates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needs be created, and this will require 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출산의지를 파악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 광주, 대구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저출산에 대한 인식, 출 산결정요인, 출산의지의 상관을 확인하고,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하였 다. 대학생의 출산의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의미 있는 부모의 출산권유(β=-.202), 육아 및 가사노동에 관한 양성 평등(β=-.224), 정책적 요인(β=.243), 경제적 요인(β= -.314)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1.3%였다. 출산의지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출산에 대한 긍정 적인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잠재적인 출산 당사자가 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속 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출산 및 양육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사회환경이 조성되고, 이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윤리적 고려
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저출산에 대한 인식, 출산 결정요인, 출산의지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출산의지
4. 대상자의 출산의지과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
5 연구 대상자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