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overty, Food Insecurity and Helplessness among the Poor in Banglades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 Qualitative Study -

원문정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방글라데시 빈곤층이 경험하고 있는 빈곤, 영양, 무력감 - 질적연구 -

Yunhee Kang, Seungheon Ha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lobally, the COVID-19 pandemic heightened the risk of economic and nutritional instability, particularly among the poor popula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45 women with young children in Kaharole Upazila, Rangpur Division, in Bangladesh. Most respondents reported reduced income or job loss since the pandemic and could not afford to purchase staples and nutrient-rich foods. Young children and pregnant women were at risk of having inadequate diets. The households used stress coping mechanisms such as selling livestock, taking loans, and spending savings several times. The coping mechanisms again put the respondents into a vicious economic and severe mental stress cycle as they had no way to repay the loan. Respondents expressed helplessness and frustration as a result of the economic downturn. There was a lack of relief assistance from local governments or civil societies. Our findings showed poor Bangladesh women faced financial hardship, limited food choices, and provisional coping strategies. It is advised that disaster relief efforts be directed toward helping the affected population maintain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building local community 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빈곤층에서 증가한 경제적 위기와 영양적 위험, 그 대응전략을 탐색하기 위하여, 방글라데시 랑푸르도 카하롤군 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 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실직 및 소득 감소를 경험하였고, 주식 및 영양가 있는 식품을 구매할 수 없었으며, 특히, 아동과 임산부는 영양적으로 부족하고 불균 형한 음식을 섭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가구들은 가축을 팔거나, 대출을 받고, 저축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임시방편적인 전략을 취했다. 특히, 대출을 받은 경우 대출금을 상환할 수 없어 다시금 심각한 경제적⋅정신적 스트레스의 악순환에 빠졌다. 응답자들은 이러한 위기를 미래에도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만연한 무력감과 좌절감을 표현했다. 조사 당시 지역정부 와 NGO의 지원이 부족했고, 지역사회 주민들 간 상호 부조 역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거의 발견 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대응전략으로서 자급자족을 촉진하는 소득증대 지원 등의 확대 와 지역사회 회복력 강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와 재난 취약성
2. 코로나19와 가구 차원의 대응전략 및 지역사회 재난 회복력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방법
3. 자료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심층 인터뷰 대상자 특성
2.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Interview Questionnaire

저자정보

  • Yunhee Kang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tional Health, Johns Hopkins School of Public Health, MD, USA
  • Seungheon Han Office of K-Public Management and Leadership Research,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35 Jinheung-ro, Eunpyeong-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