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묵담대종사 금란가사의 특성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olden Kasaya of the Great Master Mukdam

강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Yonghwasa Temple located in Damyang-gun, Jeonnam was founded by the Great Master Mukdam-seongwoo (黙潭聲祐. 1896~1981), and its Mukdam Artifact Hall currently maintains lots of artifacts such as scriptures, crafts, Buddhist paintings, Buddhist reliquary, Kasaya, and formal robes. This treatise sought to closely review two pieces of Mukdam’s Golden Kasaya made in 1959 and 1964, respectively, considered to be the last transition of red Kasaya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s traditional Buddhist monk’s Kasaya (hereinafter called Kasaya). He served as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inherited religious precepts of Haedongyulmaek and practised religious commandments, being versed in meditation, teaching and religious precepts. So the study could presume he made two pieces of the Golden Kasaya according to Buddhist’s teachings. Looking at the fact that his Buddhist name Seongwoo was recorded after completing the production of the Kasaya along with its verification in the beginning, the study argues that he was involved throughout its production. Mukdam’s Kasaya was clearly distinct from the contemporary Kasaya; red Kasaya esta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had Ilwolgwangcheop attached at the top of the left on the Kasaya horizontally, while Mukdam’s Kasaya had rectangular cloth (貼) in the center of the Kasaya. In the composition of embroidered rectangular cloth,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十波羅密) and the Dharmadhatu drawing were allocated as the main pattern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Sacheonwangcheop also put the letter of 天 (heaven) at the top of the Kasaya and the letter of 王 (king) in its bottom horizontally, respectively. And the heavenly king (四天王) was also usually embroidered with different colors on the base cloth but his Golden Kasaya had the shape of heavenly king embroidered directly. Kasaya were usually nam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eams, pattern and textile, while Mukdam’s Golden Kasaya put more emphasis on rectangular cloth - its main feature – over the pattern. And as a result, its name was rededicated as the 25johwaeomilseungbeopgyedodan Kasaya and 25johwaeomilseungbeopgyedosa Kasaya.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se two pieces of the Kasaya was the Dharmadhatu drawing situated in the middle of the Kasaya. Centered on this drawing, every symbol was allocated in layers. The former vestment described Dharmadhatu drawing →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 two dragons, beads, Sanskrit, the letter of 卍 → Bodhisattva, Buddha, Bodhisattva protectors → 20 dragons, beads, 卍. The latter described the Dharmadhatu drawing →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 two dragons, 卍, flowers → prayer of Sinmyojanggudaedarani, Buddha, Bodhisattva protectors → 24 dragons, ten virtues to be practised, beads, 卍. They had the formation of protecting Dharmadhatu drawing from outer part and the study argues Mukdam intended to express his thought of Hwaeom in his Kasaya.

한국어

전남 담양군에 위치한 용화사는 묵담 성우(黙潭聲祐, 1896~1981)대종사에 의해 창 건되었으며, 현재 묵담유물관에는 경전, 공예, 불화, 불전 장엄구, 가사, 장삼 등 많은 유물이 보존관리 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국적인 가사의 특징 으로 정립된 홍가사의 마지막 변천이라고 할 수 있는 묵담대종사의 1959년과 1964년 에 조성된 금란가사 2점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자 한다. 묵담대종사는 조계종과 태고종 종정을 지냈으며, 해동율맥을 전수받아 율사로서의 계율 실천과 함께 선·교·율에 능통했 음으로 금란가사 2점을 여법하게 조성하였으리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가사 피봉식 (皮封式)에 증명과 조성된 가사를 받는 퇴수(退受)에 성우(聲祐)라는 법명이 기록된 것으 로 보면 이 스님이 가사 조성 전반에 걸쳐 관여한 것을 알 수 있다.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는 동시대 가사와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조선후기 에 정립된 홍가사는 일월광첩이 가사의 좌측 상단에 상하로 부착되는 특징이 있지만, 묵담대종사의 가사는 주복을 중심으로 사각형의 첩(貼)이 부착되어 있다. 첩의 수(繡) 구성도 십바라밀정진도와 법계도가 주 문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천왕첩도 이 시 기에는 가사 상단에 천(天) 자를 좌우, 하단에는 왕(王) 자를 좌우로 배치했으며, 같은색의 바탕천에 다른 색으로 천왕을 수놓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 는 사천왕 형상을 직접 수 놓아 표현했다. 가사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조수, 문양, 직물 순서로 정하지만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 는 직물의 문양보다는 가장 큰 특징인 첩(貼)을 부각시켜 가사의 명칭을 25조화엄일승법 계도단가사(二十五條華嚴一乘法界圖緞袈裟)와 25조화엄일승법계도사가사(二十五條華 嚴一乘法界圖紗袈裟)로 표기하였다. 2점의 가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사 중앙에 위치한 법계도이다. 이를 중심으로 모든 상징이 겹겹이 배치되어 있다. 25조화엄일승법계도단가사에는 법계도→십바라밀도→쌍룡·화염보주·범어·만자→ 불보살·부처와 신중 명호→20마리의 용·화염보주·만자가 표시되었고, 25조화엄일승법 계도사가사는 법계도→십바라밀도→쌍룡·만자·옴·남·꽃→신묘장구대다라니·부처와 신 중 명호→십바라밀·화염보주·만자 순서로 구성되어 법계도를 외호하는 형상으로 묵담대 종사의 화엄사상을 가사에 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묵담대종사 금란가사의 형태와 구성
Ⅲ. 묵담대종사 금란가사의 특징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선정 Gang, Seon-Jeong. 화엄사성보박물관 부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