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만덕사지』의 유통과 審美 - 용흥사본, 제영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istribution and Aesthetics of MandeoksaJi(萬德寺志) - Focused on Yongheungsa(龍興寺) Text and a Landscape Poem(題詠詩) -

『만덕사지』의 유통과 심미 - 용흥사본, 제영시를 중심으로 -

김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deoksaJi』(萬德寺志) was published by the monks of Mandeoksa, who were influenced by Jeong Yak-yong(丁若鏞), and it has been evaluated as a model of temple magazine(寺誌)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ong with 『Daeheungsaji』(大興寺志). As a result, ‘Mandeoksaji’ was studied in detail in terms of history, thought, and bibli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the fact that ‘MandeoksaJi’ is a text that contains the characters of a literary material collection and reverence for the place called Mandeoksa. Accordingly, this paper tried to explor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is text. It was revealed that Mandeoksaji,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ccumulated over time, has sufficient value as an anthology of literature, and the nature and distribution of the lines of literature and gazes were examined. Recognizing that the limbs are basically complex texts in which the two axes of temporality and spatiality (placeness) intersect, this paper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the poem in Volume 5. In Volume 5, Jeyeong Poems, 27 poems by 17 people who sang the scenery of the Mandeoksa Temple were introduced, and the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were extra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itor of the four sites divided the poems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Mandeoksa Temple, the surrounding temples, and Wando in Volume 5, and presented the works of Seon Haeil during the middle Goryeo period at the beginning of each inception. In addition,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Hyeyeong and Jeyeong were analyzed and discussed. Saji is expected to be accessible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in that it is a multicultural text and a text that intersects the axes of time and space.

한국어

『만덕사지』는 정약용의 영향을 받은 만덕사 승려들이 펴낸 사지로서, 『대흥사지』와 함께 조선후기 사지의 모델로 평가받아 왔다. 그 결과 『만덕사지』는 조선후기 역사, 사상, 서지학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연구되었다. 다만 『만덕사지』가 문학적 자료집의 성 격을 가지고 있고, 만덕사라는 장소에 대한 애호를 담아낸 텍스트라는 점에 대해서는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고는 사지의 문학적 성격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만덕사지』 이본으로는 규장각본(연도 미상), 용흥사본(1915), 국립중앙도서관본 (1934), 백련사본(1936) 등이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 연대 추정이 가능한 최초의 사본 용흥사본을 중심으로 이본 유통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사찰사료』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원본으로 추정되는 『만덕사지』가 1911년까지 백련사에 소장되어 있었고, 원본을 경성으로 가져가면서 남긴 필사본이 용흥사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재의 규장 각본은 당시 백련사에 소장되어 있던 원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문학 작품이 시대적으로 누적되어 있는 『만덕사지』가 문학 선집으로 충분 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그 文選과 詩選의 성격과 분포 양상을 조망하였 다. 본고는 사지가 기본적으로 시간성과 공간성(장소성)이라는 두 축이 교합된 복합 텍스 트라는 점을 인식하고, 권5의 제영시에 집중하여 논의를 폈다. 권5 제영시 부분에는 만덕사의 풍경을 노래한 17인의 시 27수를 소개하고, 작품 배열의 기준과 특징을 추출 하였다. 그 결과 사지의 편자가 권5에서 만덕사 경내, 주변의 부속사찰, 완도라는 공간에 따라 시를 구획하였고, 첫머리에 각각 고려중기 慧日禪師의 작품을 제시하여 놓았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혜영 제영시를 분석하여 그 문학적 성취를 논하였다. 사지는 문화복합적인 텍스트요, 시간과 공간의 축이 교차된 텍스트라는 점에서 앞으 로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본 유통의 한 양상 – 용흥사본을 중심으로
Ⅲ. 사지의 본질과 문화적 성격
1. 場所愛를 담은 복합텍스트
2. 문학 선집의 성격
Ⅳ. 만덕사 제영시 분포 양상
Ⅴ. 만덕사 제영시의 기점, 혜일 시의 성취
Ⅵ.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진 Kim, Jong-Ji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