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南圃 金萬英의 隱逸 양상 - 『南圃集』 한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clusive Aspect of Kim Man-young in Nampo - with the Focus on 『Nampojip』 Chinese Poem -

남포 김만영의 은일 양상 - 『남포집』 한시를 중심으로 -

나상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creative trend of Chinese poetry and its inner consciousness, silver-day pattern, centering on the Chinese poetry of Nampo Kim Man-young, who was active in Naju, Jeollanam-do in the 17th century. Nampo had a high academic reputation to be praised as the best adult of Neo-Confucianism in Honam, but he was not immersed in Zhu Xi’s thoughts, took an open attitude to various studies, and further overcame Zhu Xi’s studies through an independent thought process. However, his life claims to be a scholar who hides in nature by avoiding reality rather than actively responding to reality, and as his ancestors advocate silver work, he shows a silver-day-oriented aspect in his inner consciousness and presents poetry creation. Nampo’s Chinese poetry was aimed at conveying the contents of one’s feelings rather than rhetoric or formal techniques. Five letters Chinese poems expressed its inner consciousness and society’s problems through the contents-oriented description of natural objects, seven letters Chinese poem created Chinese poems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society and institutions beyond nature and increased its ability to pursue and express diversity through various forms of Chinese poetry. Live in seclusion is one of the passive ways to deal with reality, but it is a way to protect yourself in a chaotic world. Nampo’s Chinese poetry expresses silver work as a direction of life and a theme consciousness of poetry creation because the world does not match its will and does not seem to change even if it unfolds its abilities.

한국어

본 글은 17세기 전라남도 나주 지역에서 활동한 남포 김만영 『남포집』 의 한시를 중 심으로 한시의 창작 경향과 그의 내면 의식인 은일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포는 호남에서 성리학의 종장이라고 칭송될 만큼 학문적 명망이 높았지만, 주자학 적 사유에만 몰입되지 않고 다양한 학문에 개방적 자세를 취하였으며, 나아가 주체적인 사유 과정을 거쳐 주자학을 극복한다. 그러나 그의 삶은 현실에 적극적 대응보다는 현실 을 회피하여 자연에 은거하는 은사를 자처하고, 자신의 선조들이 은일을 표방하듯이 그 도 내면 의식에 은일 지향적 면모를 보이며 한시 창작을 선보인다. 남포의 한시는 수사나 형식적 기교보다는 자신의 심정을 담아내는 내용 전달이 목적 이었다. 5언시는 자연물의 관물을 통한 내용 중심적 서술로 자신의 내면 의식과 사회의 제문제를 토로하였고, 7언시는 관물의 대상이 자연을 넘어 사회, 제도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시화하였으며 정체시 이외 잡체시를 통해 다양성 추구 및 표현 역량을 증대하 여 내적 갈등과 외적 환경의 결합에서 오는 현실 세계에 대한 불만을 은일로 귀결하여 시화하였다. 은일은 현실 대처 방법 중 소극적이기는 하지만 혼란한 세상에서 자신을 지켜나가는 하나의 방법이다. 남포의 한시는 세상이 자신의 뜻과 맞지 않고, 능력을 펼쳐도 변화되지 않을 것 같기에 은일을 인생의 지향점이자 한시 창작의 주제 의식으로 표현하였던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남포의 출신 배경과 생애
Ⅲ. 한시의 창작 경향과 은일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나상필 Na, Sang-Pil. 한국학호남진흥원 일반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