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Ⅰ: 근현대 통치권력의 억압과 차별관리

해방 후 공공성을 둘러싼 위기 담론 속 소거된 부랑자와 공공공간의 정화

원문정보

Elimination of vagabond and purification of public space in the crisis discourse surrounding publicity after liberation

송정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iberation space was a special environment exposed to colonial rule for a long time. It was a truly poor situation that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aftermath of colonial rule appeared as a comprehensive problematic situation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the spread of poverty caused by the legacy of colonial agricultural exploitation had negative interaction in tandem with the emergence of the vagabond.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vagabond has been recognized as a hazardous risk that must be isolated from society, rather than as a subject to state protection. In particular, among the vagabonds, the biggest victim was Hansen’s disease patient.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 issue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state power directly intervened in an individual’s body, of which nature itself was also coercive and violen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Vagabond Hansen’s disease patients were consistently treated with thorough exclusion and isolation from society. After liberation,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not substantially different. Hansen’s disease was still recognized only as an abhorrent infectious disease, and even the policy authorities regarded it as a serious threat to the usual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Accordingly, the US Military Government made it a priority to secure the foundation of public support for the governing system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resolving fear, hatred, and dirt in societ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ttempted to approach the goal of governance by resummoning non-citize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reating vagabond, which was perceived as a threat, in public space. In the process, as a governing mechanism to gain trust from the people, discriminatory management, which was a thorough exclusion of non-citizens and acquisition, was maintained.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ho were stigmatized as non-citizens, were gradually eliminated from public spaces, and the boundary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became more solid as coercion was added to the quarantine policy imposed on non-citizen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historical meaning implied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uling strategy reflected in the goal of completing the occupation and rule of South Korea.

한국어

해방공간은 장기간 식민 통치에 노출된 특수한 환경이었다. 일제 36년간의 침탈과 수탈 속에 방치된 그야말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식민 통치 후유증은 정치·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 제 문제로 나타났으며, 식민지 농업 수탈의 유산으로 생겨난 빈민 문제의 확산은 부랑자 출현과 연쇄적으로 작동했다. 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부터 부랑자 는 더 이상 국가의 보호 대상이 아닌 사회로부터 격리해야 하는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다. 특히, 부랑자 중에서도 가장 큰 희생자는 부랑 한센인이라 할 수 있다. 부랑 한센인 사례는 개인의 신체에 대해 국가권력이 직접적으로 개입한 것으로 강제 적이면서 폭력적인 성격을 가진다. 일제강점기부터 부랑 한센인 관리 방식은 사회로부터 철저히 배제하고 격리하는 방식으로 일관하였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정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센병은 해방공간에서도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되었고 정책 당국조차 사회 질서의 정상적인 유지와 재생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미군정은 사회 내 공포와 혐오를 해결해 앞으로 수립할 통치 체제에 국민의 지지기반 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군정은 위험 요소로 인식되었던 부랑 한센인을 공공공간에서 처리해줌으로써 통치 목표를 완수하려고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얻기 위 한 통치 기제로써 포섭과 철저한 배제의 방식인 차별관리가 적용됐다. 국가로부터 배제 된 부랑 한센인은 강제적인 격리 방침에 의해서 점차 공공공간에서 소거되었다. 결과적 으로 한센인과 비한센인의 경계는 더욱 확고해졌다. 본 논문은 미군정의 남한 점령통치 목표에 투영된 통치 전략과 그 안에 함의된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 부랑 한센인 문제
Ⅲ. 부랑 한센인이 재격리되는 과정
Ⅳ. 맺음말: 미군정의 통치 전략 속 타자 감시 작동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정현 Song, Jeong-Hyun.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