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Ⅰ: 근현대 통치권력의 억압과 차별관리

식민지 조선의 영유아 신체 발육 심사와 차별적 요소 탐색

원문정보

Investigation of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in Colonial Joseon and its Discriminatory Factors

박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fants were the future human resources, and their physical health was the main concern because, unlike adults, they have sufficient growth potential if constant care is premised.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a measure to manage the health of infant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ality by focusing on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in colonial Joseon. Since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viding infants into ‘good’ and ‘bad’ in nature, this paper also attempts to explore the discriminatory factors. In the 1920s, Joseon began paying attention to the health of infants. The Japanese government proposed standard indicators for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to improve the overall health level of infants. The standard indicators consisted of height, weight,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imed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infants by having medical experts evaluate them based on the standard indicator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were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1930s and continued until the 1940s. Infants who were screened through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were divided into ‘selected’ and ‘rejected’. Among the selected infants, infants with excellent physical development were generally honored as healthy infants. On the other hand, rejected infants were required to be continuously monitored, such as visiting a health counseling center and receiving counseling so that they could reach the standard level. Infants with congenital physical diseases were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check conducted by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re inherently characterized by selection and exclusion. Furthermore, there were discriminatory factor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factors can be found 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people residing in Joseon and Koreans, the differences in the living standar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In these cases, some infants wer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check by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and to use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ealth counseling centers.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raise the standard of overall physical growth of infants through the infant physical examinations. However, some infants were excluded for various reasons, and in the end, the health care of infants was only limited to a few selected infants.

한국어

일제강점기 영유아는 미래의 인적자원으로, 그들의 신체적 건강은 근대 식민권력의 주된 관심사였다. 지속적인 관리가 전제된 영유아는 성인과 달리 성장 가능성이 충분했 기 때문에 식민권력은 영유아의 건강을 증진시킬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영유아 심사회에 착안하여 영유아 건강관리 실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영유아 심사회가 지닌 차별 요소를 탐색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영유아의 건강에 주목한 시점은 1920년대부터이다. 식민권력은 영 유아의 건강 표준치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통 계조사를 통해 영유아 신체 발육표준지표를 작성하였다. 표준지표는 키, 체중, 머리둘레, 가슴둘레의 4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표준지표를 기준으로 의학 전문가 들이 심사하여 영유아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장이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1930년대 들면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1940년대까지 이어졌 다. 이때 심사를 받은 영유아는 ‘입선’과 ‘낙선’으로 구분되었다. 입선된 영유아 중 신체 발육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면 ‘우량’아로 표창되었다. 반면 낙선된 영유아는 ‘불량’ 으로 낙인되어 표준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건강상담소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게 하는 등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되었다. 영유아 심사회는 선천적으로 병이 있는 사람은 참여가 불가능하여 지원 자격에서부터 선택과 배제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영유아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쳤고, 환경에 따른 차별로 이어졌다. 생활수준, 거주지 등의 차이로 일부 영유아는 영유아 심사회 참여 및 건강상담소 등의 의료 전문 기관을 이용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박탈당할 수밖에 없었 다. 식민권력은 영유아 심사회를 통해 영유아의 전체적인 신체 성장의 표준치를 제고하고 자 하였지만 여러 이유로 배제된 영유아가 존재했고, 결국 영유아의 건강관리는 일부 선택받은 영유아에게 제한되어 다뤄졌다는 한계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영유아의 ‘건강한 신체’와 발육표준지표
Ⅲ. 영유아 심사회 현황과 심사 내용
Ⅳ. 영유아 건강관리를 둘러싼 차별적 요소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선영 Park, Seon-Yeong.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