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Ⅰ: 근현대 통치권력의 억압과 차별관리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억압과 鄕約의 변용 - 益山鄕約을 사례로 -

원문정보

The Suppression of Colonial Power and Transformation of Hyangya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Iksan-Hyangyak -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억압과 향약의 변용 - 익산향약을 사례로 -

장순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used, transformed, and operated Hyangyak in order to control the colonial Joseon local communities, as a clue to examining the aspects of Japanese control and oppression of colonial Koreans.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In September 1934, the Jeollabuk-do authorities found that the mobilization of Confucian scholars through Hyangyak would be effective on the Rural Development Movement. Therefore, all counties in Jeollabuk-do actively encouraged the organization of Hyangyak. As a result of this action, a number of Hyangyaks were organized in Jeollabuk-do, and especially Iksan- Hyangyak at Iksan-Hyanggyo, in January 1935. The main concept of the Rural Development Movement, encouraging industry(産業獎勵), public service (公共奉仕), improvement in living conditions(生活改善) were added to the traditional rules of Hyangyak, in the Rules of Iksan-Hyangyak. The executives of Iksan-Hyangyak were the majority of those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power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y actively cooperated in colonial policies according to the ruling ideology of colonial power. In addition, Iksan-Hyangyak was operated as a venue for strengthening the mental armament of colonial Koreans during the Wartime Period, stabilizing lives behind the frontier, and realizing imperialization policy. This suggests th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yangyak was both distorted and transformed, not fulfilling the original traditional spirit and autonomy of Hyangyak under the interference of the government and served as a mechanism for Japanese control and oppression of colonial Korean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통제·억압의 양태를 살펴보기 위한 단서 로 조선총독부라는 식민권력이 식민지 조선의 지역사회의 통제를 위해 향약을 어떻게 활용 내지 변용시켰으며, 운영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934년 9월, 전라북도 당국은 향약을 통한 유림의 동원이 농촌진흥운동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전 郡에서 적극적으로 향약을 조직하도록 독려했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에서도 다수의 향약이 조직되었고, 1935년 1월 익산향교에서 익산향약이 조직 되었다. 익산향약의 절목에는 전통적인 향약 절목에 더하여 농촌진흥운동의 핵심인 産業獎勵·公共奉仕·生活改善이 추가되었다. 익산향약의 임원들은 조선총독부의 통치권력 시스템 속에 편입된 사람들이 다수를 점했으며, 일제의 식민정책에 적극 협력한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익산향약은 유교단체로 서의 성격보다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정신무장의 강화 및 후방의 안정, 그리 고 황국신민화정책 실현의 장으로서 운영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향약은 官의 영향력 아래에서 향약 본래의 전통적인 정신과 자율성을 배제당한 채 왜곡 변용되어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통제와 억압의 기제로서 작동되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총독부의 향약 장려정책과 전북지역 향약
Ⅲ. 익산향약의 조직과 시행
Ⅳ. 향약 운영을 통한 식민권력의 식민지 통제와 억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순순 Chang, Soon-Soon.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