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부상 선수의 재활을 위한 관여하기 기반 수용-전념 상담 과정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ngagement-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Counseling Process for Rehabilitation of Injured Athletes

오원석, 백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is study applied value-conspiracy behavior counseling, a process involved in receptive commitment therapy, to injured swimmers in rehabilitation. The main appeal problems of the client were conceptualized as rehabilitation, return, performance, career, and conflict. The results of the 15th session of counseling were first confirmed to have a wide view and the power of self-compassion to de-converge one's problems by securing observer self-reflection on injuries. Second, the lack of commitment to rehabilitation, anger, and anxiety, which are key problems, showed that they had psychological leeway after counseling and faithfully worked on rehabilitation activities that they can do now, showing commitment to values. Third, the concept of psychology and physical reinforcement necessary for return was renewed and changed to the attitude of doing the best. Fourth, in anger at the fact that the resources of sincerity and effort he evaluated were dominated by internal experiences, and in fear of giving up his career, he recovered his resources and chose fearful but value-oriented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volvement counseling focuses on value by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of the injured player. Finally,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injured athletes, research based on the process of opening the mind and centering among the three processes of ACT is needed, and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expand sports psychology by verify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by applying it to general sports club members.

한국어

이 연구는 수용전념치료의 관여하기 과정인 가치-전념행동 상담을 재활중인 부상수영선수에게 적용하였다. 내 담자의 주 호소 문제는 재활, 복귀, 경기력, 진로, 갈등으로 개념화되었다. 15회기의 상담결과는 첫째, 부상에 대한 관찰자 적인 자기를 확보하여 자신의 문제를 탈융합하는 넓은시야와 자기자비의 힘이 생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핵심문제인 재활에의 전념 부족과 분노, 걱정으로 인한 회피정서는 상담후 심리적 여유가 생기고 지금 할 수 있는 재활운동에 충실히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치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복귀에 필요한 심리와 신체적 강화에 대한 개념이 새로워 지고, 이에 최선을 다하는 자세로 변화되었다. 넷째, 자신이 평가한 성실함과 노력의 자원이 내적경험들로 지배당하는 것에 대한 분노와 선수생활 포기의 두려움에서 운동과 은퇴를 준비하는 여유와 자신의 자원을 회복하고 두렵지만 가치지 향적 행동을 선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여하기 상담은 부상선수의 심리적 유연성을 강화시켜 가치에 전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상선수의 재활 과정에서 ACT의 3가지 과정 중 마음을 여는 과정과 중심잡기 과정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일반 생활체육 동호인에게도 적용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를 검증하여 스포츠 심리학의 확장을 도모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참여자
2. 상담과정
3. 절차 및 분석
Ⅳ. 결과
1. 사례개념화
2. 회기별 상담요약
3. 상담평가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원석 Oh, Won-Seok. 강원대학교, 연구교수
  • 백진호 Back Jin Ho. 강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