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perception of fairness of judgment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From May 1 to 30, 2022, 15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at universities in Gyeongsang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online survey links were distributed,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146 were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vali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judgment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kill satisfaction and Taekwondo self-esteem among perceived performances. Second,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judgment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Third,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er emphasized that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of Taekwondo in Korea, it is most urgent to restore the fairness of judgment for future Taekwondo instructors, educators, and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who will become athlete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판정공정성 인식이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2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경상권에 소재한 대학에서 태권도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에 대한 온라인 링크를 배포하고, 총 146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효 자료들을 수집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판정공정성 인식은 인지된 경기력 중 기술만족도와 태권인자긍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판정공정성 인식은 이들의 운동지속의사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지속의사는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태권도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미래의 태권도 지도자와 교육자, 선수가 될 대학 태권 도 선수들을 위한 판정공정성의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고찰을 통한 연구 가설 수립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
2. 판정공정성 인식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영향
3. 판정공정성 인식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영향
4.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