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노인의 스마트폰 활용 정도에 따른 비대면 운동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및 수용의도의 차이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Acceptance Intention against Non Face to Fac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age of the Elderly

홍상민, 정태린, 황기선, 정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and acceptance intention of non-face-to-face exercis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s according to smartphone usage time and usage capacity of the elderly. First, regarding the the smartphone use time of the elder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using less than 10 minutes and 30 minutes to 1 hour and the group of 10 minutes to 30 minutes and more than 1 hour. Regarding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not shown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acceptance int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using 30 minutes to 1 hour and the group using 10 minutes to 30 minutes and the group of using more than 1 hour. Second, regarding the elderly's smartphone use capabi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smartphone usage ability and the group with low smartphone usage ability in perceived ea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acceptance int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smartphone capability and the group of low smartphone capability. At this point of the smart device capability improvement of the elderly is required socially, this research is expected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on-face-to-face exercise devices for the elderly.

한국어

이 연구는 노인들의 스마트폰의 사용시간과 활용역량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운동중재에 관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및 수용의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관련하 여 지각된 용이성에서는 노인의 사용시간이 10분 미만인 집단과 30분~1시간인 집단, 10분~30분 집단과 1시간 이상 사용하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수용의도에 대해서는 30분~1시간 사용하는 집단과 10분~30분 사용하는 집단 및 1시간 이상 사용하는 집단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스마트폰 활용 역량과 관련하여, 지각된 용이성에서는 스마트폰 활용 역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의도에 대해서는 스마트폰 활용 역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노인의 스마트기기의 적응력 향상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가 노인의 효과적인 비대면 운동기기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방법
4.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Ⅲ. 연구 결과
1. 측정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차이 검증 결과
Ⅳ. 논의
1.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른 비대면 운동중재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의 차이
2. 노인의 스마트폰 활용 역량에 따른 비대면 운동 중재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및 수용의도의 차이
3. 노인 대상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운동 중재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관한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상민 Hong, Sang Min. 김천대학교, 교수
  • 정태린 Chung, Taerin. 단국대학교, 강사
  • 황기선 Hwang, Gi Sun. 단국대학교, 연구원
  • 정서호 Jung, Seo-ho. 단국대학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