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만족 척도 개발 및 구조검증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Verification of Job Satisfaction Scale of Employees of Security Industry

이종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security industry by investigating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mployees to determine the scales of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s allow figuring out what dominant influences are to develop suitable scales. The study is constituted of a preliminary survey and an official survey which were specifically in 5 stages and used to confirm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scal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o develop scales for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security industry have consisted of four factor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ose four factors have been called as 'complementary facility expenses‘,’emotional rewards‘,’job performance‘,’job trait‘ after fully considered implied meanings of the questionnaires. Sub items as a guard security system are as follows: ' operating of security system at work without malfunction','the decreasing of the frequency of unnecessary mobilization by reduced false alarm','encountering clients satisfied with security facilities, which are designed and installed‘,’ improving of the work environment by the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 Sub categories as a emotional reward are 'employers' gratitude on employees work',' employers' satisfaction on the work',' colleagues' thankfulness. Sub provisions, the performance of one's duties, are as follows: 'preventing crimes','saving a life',' lots of field experiences'. The sub categories as duty special quality have consisted of 'high salary compared to other jobs','attention from surroundings','self-esteem on the job, which can not be easily 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need to be verified through many corrections in order for the scale developed as a primary step in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security workers to be used in the field and to be used as a tool for security academic research.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job satisfaction of security industry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factors and items of the scale should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quickl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결정요인 을 알아보고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들에 대하여 탐색하는 데 있으며, 탐색 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시큐리티 산업 종사자들에게 적합한 직무만족 척도를 개발하여 시큐리티 산업 종사자 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척도의 개발과 척도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개발과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연구를 구성하였으며 세부적으 로는 총 5단계로 이루어져 졌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4요인 13문항을 최종문항을 확정하였 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의미를 고려하여 ‘경호보안설비’, ‘정서적 보상’, ‘직무수행’, ‘직무특성’으로 명명하였다. 경호보안설비의 하위요인으로는 ‘근무현장의 보안경비시설이 오작동 없이 작동할 때’, ‘오 경보를 줄여 불필요한 출동을 줄였을 때’. ‘직접 계획하고 설치한 보안경비시 설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고객을 볼 때’, ‘보안경비시설의 발달로 근무여건이 향상되었을 때’로 구성되었으며, 정서적 보상의 하위요인으로는 ‘고용주가 고마워 할 때’, ‘고용주가 만족을 느낄 때’, ‘직장동료가 고마워 할 때’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의 하위요인으로는 ‘고객의 범죄예방을 하였을 때’, ‘고객의 인명을 구했을 때’, ‘많은 현장경험을 할 수 있어서’로 구성되었으며, 직무특 성의 하위요인으로는 ‘타 업종에 비해 보수가 많아서’, ‘주변에서 나를 바라보는 시선에’, ‘다른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일을 한다는 것에 대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큐리티 업무 종사자를 위한 척도개발에 일차적 단계로서 개발된 척도가 현장에서 이용되고 시큐리티 학문연구의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보정과정을 통하여 입 증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시큐리티 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적 정립이 되어야 하 며 척도가 가지고 있는 요인과 문항의 수정과 보완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호 Lee, Jong-Ho. ㈜화인 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