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hines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significanc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relev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in China.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the quality change of talent training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olicies, it is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ransform from language ability-oriented to training compound talents with comprehensive ability and “Korean+expertise”. To cultivate such talents, at the macro level,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hould seek diversified talent training models that cultivate “Korean+” compound talent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llege-enterprise cooperation, aiming for the demand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students' comprehensive abilities while focusing on human natur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t the microscopic level,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curriculum system and faculty. In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 desig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tegrating the content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enhancing students' humanity qualities and comprehensive abil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외국어 교육 관련 정책의 내용, 의의, 특징, 그리고 이 정책들 간의 내재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발전과 인재 양성의 질적 전환을 위한 한국어 교육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외국어 교육 정책에 의하면 언어 능력 중심에서 포괄적 능력, ‘한국어+전문지식’을 갖춘 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서 한국어학과는 거시적 차원에서 사회경제적 발전과 산업 구조 조정에 따른 다양한 수요를 지향하여 교내외 및 국내외 협력, 산학연협력 등을 통해 ‘한국어+’ 복합형 인재를 배출하는 다원적 인재 양성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태도 교육에 중점을 두면서 학생들의 포괄적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미시적 차원에서 교과 체계 구축과 교원 확보에 있어서는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고, 교재 개발 및 수업 설계에 있어서는 사상정치교육 콘텐츠를 융합시키고 학생들의 교양과 포괄적 능력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목차
1. 서론
2. 신시대 중국의 외국어 교육 정책 현황
2.1. 교과목 사상정치교육
2.2. ‘신국가기준’과 ‘비통용어 지침’
2.3. 신문과ㆍ대외어
2.4. 국가ㆍ지역연구
2.5. 내재적 관련성
3.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혁 방향
3.1.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3.2. 거시적 차원의 한국어 교육 개혁 방향
3.3. 미시적 차원의 한국어 교육 개혁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