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iveness of Loss Healing Program Among Widowed Elderly Wome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n the fiel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a loss healing program based on Neimeyer's theory of meaning reconstruction to help the mourning process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the loss of a spous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pre-post-post design of an inequality control group was used with 16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people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ereavement stress, depression,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conduct a follow-up survey before, after, and four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by period, bereavement stress (F=17.020, p<.001), depression (F=8.706, p<.01), resilience (F=17.209, p<.001), and quality of life (F=26.279, p<.001) were all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i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dowed female elder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loss healing program will help widowed female elderly reflect on the meaning of death, reinterpret the meaning of loss, reduce negative emotions, and re-adapt to daily life by having enough time for mourning.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by strengthening spiritual maturity,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resetting lives of bereaved victims by providing a loss-healing program and manualizing it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경험 노인의 애도를 돕기 위해 Neimeyer의 의미재구성 이론을 토대로 상실 치유 프 로그램 구성과 적용의 효과성 검증함으로써 치료적 개입으로 현장에서 적용의 폭을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 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집단 16명, 대조집단 16명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에 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측정도구로 사별 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삶의 질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기별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ANOVA을 실 시한 결과, 사별 스트레스(F=17.020, p<.001), 우울(F=8.706, p<.01), 회복탄력성(F=17.209, p<.001), 삶의 질 (F=26.279, p<.001)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는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에게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상실 치유 프로그램은 충분한 애도의 시간을 갖음으로 죽음 의미의 성찰과 상실에 대한 의미 재해석, 부정적 감정의 낮춤과 일상생활에 재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영적 성 숙과 자존감, 행복감의 강화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지역사회 연계기관과 협력 을 통해 상실 치유 프로그램의 제공과 매뉴얼화로 사별 경험 대상자의 삶의 재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실과 애도
2. 의미재구성 모델
3. 상실 치유 프로그램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3. 연구 도구
4. 자료수집 및 연구 절차
5. 윤리적인 고려
6.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실험집단과 대조집단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2. 주요 변수 간 사전 동질성 검증
3. 측정시기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