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50대 이후 폐경여성의 제지방량, 허리둘레, 복부지방률, 체질량지수, 수면시간과 골다공증과의 연관성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지역사회 6차 조사 이용

원문정보

Association between Lean Mass,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Sleep Duration to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Using the Community 6th Survey in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김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lean mass,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sleep dur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of age.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20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of age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6th community survey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rrecting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affecting osteoporo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occurrence of osteoporosi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was se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less than 0.05. Results :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of osteoporosis decreased by 0.06 times for every 1kg increase in lean body mass. Waist circumference showed an odds ratio of 0.69 (95% CI: 0.53∼0.88) compared to waist circumferences greater than 85 cm than those less than 85 cm. The risk of osteoporosis related to abdominal fat percentage was 0.76 lower in the group with abdominal fat percentage higher than 0.90 than in the group with lower than 0.90, with an odds ratio of 0.76 (95% CI: 0.06∼0.96). Body mass index (BMI) was odds ratio of 0.70 (95% CI: 0.56∼0.89) compared to BMI 25 or more compared to BMI less than 25. As for the sleep duration, the odds ratio of 5 hours or less compared to 6∼7 hours increased the risk of osteoporosis by 1.39 times with an odds ratio of 1.39 (95% CI: 1.05∼1.84), and the odds ratio of 8 hours or more compared to 6∼7 hours of sleep duration increased the odds ratio of 0.77 (95% CI: 0.56 ∼1.06). Conclusion :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lean mass,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sleep duration are related with osteoporosis. In order to help prevent the onse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over 50 years of age, comprehensive preventive management, including individual appropriate sleep duration and management of lean mass, waist circumference, and BMI levels, is required before osteoporosis evolve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50대 이후 폐경여성의 제지방량, 허리둘레, 복부지방률, 체질량지수, 수면시간의 정도에 따른 골다공증 발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지역사회 6차 조사에 참여한 자 중에 50세 이후 폐경여성 1,320명이 다. 독립변수와 골다공증 발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변수를 보정한 상태 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수준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제지방이 1kg 증가할 때마다 골다공증 위험이 0.06배 감소하였다. 허리둘레는 85cm 초과가 85cm 이하에 비해 교차비 0.69(95% CI:0.53∼0.88)로 나타나, 허리둘레 85cm 초과 시에 골다공증 발병률을 1이라고 할 때 85cm 이하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0.69였다. 복부지방률 0.90 초과 그룹이 0.90 이하 그룹에 비해 교차 비 0.76(95% CI: 0.06∼0.96)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BMI)는 BMI 25 이상이 BMI 25 미만에 비해 교차비 0.70(95% CI:0.56∼0.89)었다. 수면시간은 5시간 이하가 6∼7시간에 비해 교차비 1.39(95% CI:1.05∼1.84)로 골다공증 위험이 1.39배 증가하였고, 수면시간 8시간 이상은 6∼7시간에 비해 교차비 0.77(95% CI: 0.56∼1.06)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제지방량, 허리둘레, 복부지방률, 체질량지수, 수면시간의 정도에 따라 골다공증 발병과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50대 이후 폐경여성의 골다공증 발병 예방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골다공증이 발병하기 전부터 개인의 적절한 제지방량과 허리둘레, 복부지방률, 체질량지수, 적절한 수면시간을 포함한 포괄적인 예방 관 리가 요구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분석 도구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
3. 독립변수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
4. 독립변수와 골다공증의 연관성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미 Kim, Soo-Mi.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