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Development an Instrument for Assessment of Competency-Based Occupational Therapy Majors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assessment tool that can diagnose competencies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February 2021,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cus meetings,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expert panel. This survey question wa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expert focus meeting for item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items with a content validity of .29 or higher and a standard deviation of less than 1.0. The final question was selected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38 questions in this survey. Results : The finally derived assessment items for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consisted of 3 categories and 30 factors. The reliability is with 17 questions of major knowledge application ability, 8 questions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ability, and 5 questions of attitude and practical ability(α=.978). Conclusion :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esented for objective evalu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evaluate the major competency of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develop and reorganize the major curriculum.
한국어
목적 : 작업치료 전공교육을 통하여 전공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9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전문가 패널 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29 이상, 표준편차 1.0미만 항목 조건을 충족하는 문항에 대하 여 2차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본 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 38문항에 대하여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하 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 최종 도출된 작업치료 전공교육 진단항목은 3개 범주, 30개 세부요소로 구성되었다. 전공지식 적용 능력 17문항, 윤리의식과 의사소통기술능력 8문항, 태도와 실천 능력 5문항으로 신뢰도는 α=.978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는 작업치료 전공교육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제시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작업치료 전공학생의 전공역량을 평가하는데 활용함으로써 전공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개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 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과정 및 방법
2.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2. 전공역량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 요인별 최종 문항의 내용 구성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