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와 회화예술에서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 -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꿈-까마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Intermediality in Film and Painting Art - Focusing on the movie 「Dream-Crow」directed by Akira Kurosawa -

송보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ovie 『Dream』 is an Omnibus-Style Film made by Akira Kurosawa. The movie, Dream has 8 episodes and it was the main analysis target of this study of episode5, . The movie begins with “I had these kinds of dreams” and it is run time about 10 minutes out of about totally of 2 hours of the time. Episode5, is made of Vincent van Gogh's masterpiece, . The narrative of the movie consists of paintings by Vincent van Gogh. The Hollywood movie director, Martin Scorsese has played Gogh. The story is about Akira Kurosawa going back to 1880, meeting Gogh, watching Gogh's works as if touring, returning to reality, and paying respects to the master's masterpiece . It has come up with a new style in the manner of the unique movies. This movie's narrative consisted of Gogh's works in a story. In the image implementation's method, it can be sure that novelty is added through interference with the theory of Intermediality. For the remediation of the movie, the painting artwork gives ideas. Then the movie has been accepted ideas and recreated them as innovative artworks. That is the theory of Intermediality: Formal (Transmedial) Intermediality. Schröter Jens has classified the type of 4, in the theory of Intermediality. The Formal (Transmedial) Intermediality is Type2. The movie of episode5, is The Formal (Transmedial) Intermediality. Episode5, ’s thems are the first Death, second, the Future, and third, Climax in a life. Akira Kurosawa expresses through Gogh's painting as a scenario text for the movie and he contains humanism, which is a universal theme consciousness of death and life on Gogh’s arts.

한국어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 영화, 『꿈』은 총 8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옴니버스 스타일의 영 화이다. 에피소드 5, 『꿈』-<까마귀>가 이 연구의 주된 분석 대상이다. 영화는 “이런 꿈을 꾸었다” 로 시작되며, 전체 상영 시간 약 2시간 가운데, 약 10여 분의 길이로 제작되었다. <까마귀>는 빈센트 반 고흐의 명작, <까마귀 나는 밀밭>과 연결되며, 영화의 이야기 전개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회화로 구성되어 있다. 마틴 스콜세지가 고흐의 역을 연기했다. 내용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이, 1880년으로 시간여행 하여, 고흐를 만난 뒤, 고흐의 작품들을 유람하듯 관람하고 현실로 되돌아와, 거장의 명작 앞에서 경의를 표한다는 이야기다. 이 영화는 회화예술이 영화 예술의 서술 목적으로 구성 되는데, 이미지 구현 방식에서 매체 간의 간섭과 충돌로 인해 나타나는 상호매체성을 통해 새로움을 더 했다고 할 수 있다. 예슨 쉬렌더 Schröter Jens의 2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트랜스 미디어 상호매체성 예술로 판단되는 <까마귀>에서 나타나는 주제 의식은 첫째 죽음, 둘째 지향적 삶의 태도, 셋째 인생에 서의 절정이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이러한 주제를 통해서‘죽음과 삶의 절정’이라는 보편적인 주제 의식을 담은, 휴머니즘을 고흐의 그림을 시나리오 텍스트로 표현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예술형식의 상호매체성
2. 상호 간섭과 ‘차이’ 사이의 예술 매체들의 융합
3. 예술의 조합-회화와 영화에서의 ‘페드로 알모도바르’ 영상 세계
Ⅲ. [꿈-까마귀]와 구로사와 아키라
1.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예술 세계
2. 빈센트 반 고흐의 회화예술 세계
3. 영화 『꿈-까마귀 Crow』와 회화 [까마귀 나는 밀밭]의 내러티브 상호텍스트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보나 Bona Song.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