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성과와 과제

원문정보

Performance and Challenge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서지영, 서화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to propose future tasks. To this end,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in the first cycle (2011-2015) and the second cycle (2016-2020),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results and performance of each institutional accreditation was review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uture task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valuation standards that can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universities. As an input factor, indicators that can be adjusted by the university's own efforts have generally improved. This upward trend of quantitative indicators is seen as a policy influence as an indicator commonly applied in the competitiv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univers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duce participation in university without participation. Therefore, university without participation can consider applying a university model that reflects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ing preliminary certification in the judgment type as a way to us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기관평가인증 운영을 위한 향후 과제 를 제안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실시 근거인 「고등교육 법」제11조의2(평가)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의 맥락에서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의미와 기능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1주기(2011∼2015년), 2주기(2016∼2020년) 대학기 관평가인증 운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주기별 대학기관평가인증 각각의 평가내용, 평가절차, 평가결과 등 의 운영 결과와 성과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대학기관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은 대학기관평가인증 평 가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의 조사결과를 재해석하여 정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학기관평가인증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속가능 성을 담보할 수 있는 평가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투입 요소로 대학 스스로의 노력으로 조정이 가능한 지표들은 대체적으로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정량지표 상승 추세는 정부의 재정지원사업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의 경쟁 적 평가 속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된 지표로 정책적 영향이라 보여진다. 둘째, 미인증대학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 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미인증대학들이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스스로 질 제고를 위해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 특성을 반영하는 대학 모형을 적용하는 것과 판정 유형에 예비 인증을 신설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실시 근거 및 의미
Ⅲ. 대학기관평가인증 운영 현황 분석
1. 평가내용
2. 판정체계
3. 판정유형 및 기준
4. 평가결과
Ⅳ. 대학기관평가인증 정량지표 변화 동향
1. 필수평가준거 변화 동향
2. 일반평가준거 정량지표 변화 동향
Ⅴ. 대학기관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
1. 1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
2. 2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지영 Ji-Young Seo.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 서화정 Hwa-Joung Seo. 영남대학교 교육혁신연구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