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교사상 문화유적지에 관한 BI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onfucian Thought Cultural Sites BI Design

강민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globalization has accelerated a variety of special regional strategy has come up at national level to activate regional economy. In addition as the specialized strategy like local brand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 local branding to study regional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has come to the fore. Plus, there’s a growing awareness that the innovative elements of Korean culture have design value in themselves and if these elements can be applied to regional specializationit could be power to develop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design elements hidden in Confucian cultural heritage sites based on Confucian ideas that underlie Korean antecedents in order to find differentiated Korean beauty and provide case helpful to produce original ‘Korean design’ and furthermore, suggest BI design for local branding to provide basic data to invigorate local economy in S. Korea. In this study, several cases were analyzed, especially focusing on cultural heritage sites left in Korean Confucian ideas in which its nature had been forgotten against rapid social progress. Also,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visits in historic sites in order to find differentiated originality and value that are different to other regions to come up with origin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o express Korean beauty and BI design was suggested for Jeonju Hanok Village.

한국어

최근 세계화가 가속됨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역 특화전략을 마련하 고 있다. 또한, 지역 브랜드화와 같은 특화전략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지역의 특징을 연구하여 지역 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확립시키고자 하는 지역 브랜딩(Branding)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독창성 있는 한국문화의 요소들은 그 자체가 디자인적 가치를 지니고 이 요소들이 지역특화에 적용된다면 국가의 경쟁 력을 키울 힘이 된다는 인식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차별화되는 한국적 아름다움을 찾고자, 우리 선조들의 근간이 되는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유교 문화유적지 속에 숨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주체성 있는 ‘대한민국 디자인’을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사례가 되고 이와 더불어 지역 브랜딩을 위한 BI 디자인을 제시하여 한국의 각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빠른 사회발전에 따라 본질이 잊혀가고 있는 한국의 유교 사상 속에 남겨진 문화유적지를 중심으로 몇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과의 차별화된 고유성과 가치를 찾고자 다양한 문헌조사와 함께 직접 유적지를 찾아가 탐색하여 각 지역의 독창적인 특징 을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이후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디자인요소를 5가지로 정의하여 전주 한옥 마을의 BI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목적
3.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유교 사상의 개념과 특징
2. 유교에서 바라본 한국의 미와 예술
Ⅲ. 유교 문화유적지의 디자인적 사례 연구
1. 전주 한옥마을
2. 전주향교
3. 담양 소쇄원
4. 진주성
Ⅳ. 유교 문화유적 디자인 개발
1. 유교 문화유적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가이드라인’
2. BI 디자인 사례 분석
3. 전주 한옥마을 BI 디자인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민지 Min-Jee Kang. 신한대학교 리나시타교양대학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