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presentations of Veiling in the Visual Culture of Iran’s Islamic Republic : On Shirin Neshat’s and Jafar Panahi’s Filmic Works

원문정보

이란 이슬람 공화국 시각문화에서 베일 쓰기의 재현 : 쉬린 네샤와 자파르 파나히의 영상 작품을 중심으로

Min, Kyungs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plores multifaceted associations between gender politics and veiling in Post-revolutionary Iran. It centers on how contemporary Iranian visual art explores the ambivalence of hijab and its significance operated in various dichotomies, such as the public/the private, the feminine/the masculine, and the visible/the invisible. To address the social, politic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of women’s experiences in contemporary Iran based on gendersegregation rules in the revolutionary government’s nation-building strategies, I attend to the spatial metaphor of hijab and its transgendered appropriation in the films of Shirin Neshat and Jafar Panahi. I begin with reading Neshat’s two-channel video installations which invite viewers to witness the tensions between the genders through multi-sensory encounters with veiled women in public spaces. Then, I analyze Panahi’s Offside (2006), a film about Iranian girls whose masculine veils empower them to enter the male-only public arena. Through these case studi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visualization of veiling underscores the ambivalence about the nation-state mode of Islam and the vulnerability of ‘Iranianness’ reliant on the revolutionary regime’s gender policy.

한국어

이 논문은 1979년에 일어난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의 젠더 정치와 베일 쓰 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한다. 특히,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현대 시각문 화가 공적인 것/사적인 것, 여성적인 것/남성적인 것, 그리고 보이는 것/보이 지 않는 것과 같은 히잡이 내포한 양가성을 재현하는 방식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혁명 정부가 새로운 국가 이미지 구축의 한 전략으로 내세운 젠더-분 리 정책에 기초한 현대 이란에서의 여성적 경험의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심 리적 차원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쉬린 네샤와 자파르 파나히의 영상 작품 에서 히잡이 공간적 은유와 트랜스젠더적 차용으로 드러나는 방식에 주목한 다. 먼저, 공공장소 속 베일을 쓴 여성들과의 다중감각적 만남을 통해 다양한 젠더적 긴장감을 목도하도록 이끄는 네샤의 2채널 비디오 설치 작품들을 들 여다본다. 이어서 남성의 베일을 그들에게 금지된 공공장소에 들어갈 수 있 는 권한으로 치환한 이란 여성 축구팬들의 이야기를 다룬 파나히의 영화 <오 프사이드> (2006)를 분석한다. 이 두 가지 사례 연구를 통해 본고는 베일 쓰 기의 시각화가 이슬람의 민족국가 형태에 내포된 양면적 가치들과 혁명 정권 의 젠더 정책에 기반한 ‘이란성’의 취약성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주장한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 Iranian Revolution and Gender Segregation
3. Veiling Practices and Public Spaces for Iranian Woman
4. Beyond the Split Screens: Shirin Neshat’s Turbulent and Fervor
5. Transgendered Veils: Jafar Panahi’s Offside
6. Conclusion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Min, Kyungso 민경소. Seoul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