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Korean society,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are stigmatized because their behaviors are overlaid with images of cruelty or unpredictability. The number of mentally ill offenders is increasing rapidly compared to general offenders, and their recidivism rate is high. However, most studies focused on theoretical approaches and case analysis in foreign countries. In particular, little research explores the lives of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and analyzes the socio-demographic environment, treatment,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cidivism or non-recidivism. This study analyzes various environmental backgrounds, treatment experiences, and recidivism cases after treatment completion into 1) life area, 2) turning point, and 3) adaptation through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created by Mandelbaum. Among the total court-order treatment cases, 4 cases of recidivism and non-recidivis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recidivism/non-recidivism were understanding treatment, social support system, and willingness to a better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recidivism prevention among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한국어
한국 사회에서 정신질환 범죄자는 행위의 잔혹성이나 비예측성이라는 이미지에 덧 씌워져 두려움이 대상이다. 정신질환자 범죄자는 일반 범죄자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 하고 있으며 이들의 재범률은 높다. 하지만 대부분 정신질환 범죄자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 접근 및 해외사례분석에 치우쳐져 있다. 특히, 정신질환 범죄자들의 삶을 심 층적으로 바라보며, 인구사회학적 환경, 치료, 재범/비재범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질환 범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환경적 배경분석, 치료경험, 치료 종료 후 재범사례 등을 Mandelbaum이 주장한 생 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1) 삶의 영역, 2) 전환점, 3) 적응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치료명령 종료자 중 재범과 비재범 대상자 각 4 사례를 뽑아 연구대상자로 선 정하였다. 연구결과 재범/비재범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치료에 대한 이해, 사회 지지체계, 더 나은 삶에 대한 의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범죄자의 지역사회재활과 재범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1. 치료명령제도
2.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1. 생애사 연구
2. 연구대상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1. 연구 참여자의 기본정보 분석결과
2. 재범/비재범 사례의 생애사 분석결과
Ⅴ. 결론
Ⅵ. 연구의 함의
Ⅶ.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