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韩·中参与式博物馆青少年文化艺术 教育项目比较研究 : 以韩国国立中央博物馆和中国故宫博物馆为中心

원문정보

A Comparison Study of Youth Participator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s in Chinese and Korean Museums : Focused on the Palace Museum in Chin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한·중참여식박물관청소년문화예술 교육항목비교연구 : 이한국국립중앙박물관화중국고궁박물관위중심

주정, 김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articipatory museums in recent years, society has been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topic of fostering art literacy among young people.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mpare the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s of museums in Korea and China, and to summarize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museum education sector in both countries. To this end, the youth educ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Central Museum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were compared, and the four major elements of museum education were summarized from the research of major scholars based on Simon's concept of participatory museums, and the four aspects of virtual space, actuality,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in terms of virtual spatialization, both Chinese and Korean museums build virtual museums through VR technology and using 3D modeling functions. The Forbidden City focuses on VR experience, while the National Central Museum uses not only VR but also artificial intelligence, VR (tilt brush), museum view, and other technologies to support educational programs. In terms of practicality, both museums have designed their educational program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young people. The Forbidden City focuses more on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through web applications, while the National Central Museum uses museum space fo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individualization, the National Palace Museum has started educational programs for hearing-impaired youth from a special population, while the Korean Museum operates programs to train future youth with museum professionalism. Finally, in terms of interaction, the National Palace Museum has launched a music composition contest to allow youth to stimulate their creative potential while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The National Central Museum, on the other hand, develops a sense of team communication through hands-on games.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eum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both China and Korea.

한국어

최근 참여적 박물관 개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들의 예술적 소양을 함 양하기 위한 박물관의 교육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박물관의 참여적 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함으로써 개선 및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과 중국 고궁박물 관과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Nina Simon(2010)이 참여적 박물관의 요소로 제시한 가상공간화, 현실감, 개인화, 상호작용성 등 네 가지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공간화 측면에서 두 박물관 모두 VR 기술을 통해 3D가상 모델링 기능을 활용해 가상 박물관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고궁박물관은 VR에 집 중한 활용교육에 촛점을 둔다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은 VR뿐 아니라 인공지능, 틸트 브러시, 뮤지엄 뷰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현실 감 측면에서는 두 곳 모두 교육 수용자의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해 놀이 요소를 적 극적으로 차용한다. 그러나 중국 고궁박물관은 온라인 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은 학교 수업과 연계해 박물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고 있다. 개인화 측면에서 중국고궁박물관은 특히 청각장애 청소년을 위한 프로 그램을 강조한 반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은 미래 직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청 소년 육성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측면에서 중국 고궁박물관은 음악 창작대회를 개최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창작 잠재력을 자극하 고 전통문화 계승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 반면,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은 게임적 요 소를 도입한 체험을 통해 팀원들과의 교류 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본 연구가 한국과 중국 양국의 박물관 문화예술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引言
Ⅱ. 理论背景
1. 博物馆的理解
2. 参与式博物馆
Ⅲ. 韩国国立中央博物馆参与式青少年教育项目
1. 概要
2. 青少年教育项目
Ⅳ. 中国故宫博物馆参与式博物馆青少年教育项目
1. 概要
2. 青少年教育项目
Ⅴ. 韩国国立中央博物馆和中国故宫博物馆的参与式博物馆青少年教育项目比较
Ⅵ. 结论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정 Zhou Ting. 홍익대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졸업
  • 김선영 Kim Sunyoung. 홍익대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