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재로서의 지역문화예술 :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Local Culture and Arts as Public Goods : Focusing on The Operation Plan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Coordinator

김도희, 김동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line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in social demands for culture and arts as public good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institutional grounds for culture and arts such as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However, in the region, there is not enough supply of legal dedicated personnel with public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o practice the social needs of culture and arts.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oriented support projects caused by the polar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lack of cooperation in culture and arts between artists and residents in the government and local areas, an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systems for cultivating culture and arts-related manpower are emerging. Therefore, we inte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culture and arts, focusing on Gyeongsangbuk-do, and seek solutions. And also,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along with solutions. First, it presents the need for a ‘local culture and art coordinator system’ that can handle and manage culture and arts as a public good in the region, and the capabilities and training measures they should have. Local culture and arts coordinators are responsible for creat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supporting growth and network formation between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establishing systems for regional culture and arts development, and discovering new subjects and agendas. In additio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 performanc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and 29 sub-competencies were specified below them. Furthermore, unlike the existing vertical policy system,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regional culture and art platform’as an intermediate base organization where local cultural and art coordinators can operate based on a horizontal network was presented.

한국어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발맞춰 정부는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문화예술 에 관련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정작 지역에서는 문화예술의 사회적 요구를 실천하기 위한 공적 책임과 권한을 갖춘 합법적 전담인력의 공급이 충분하 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수도권과 지역의 양극화로 인해 발생하는 수도권 위주의 지원사업, 관과 지역의 예술가와 주민들 간의 문화예술에 대한 협치의 부재, 문화 예술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들의 문제와 한계점 등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나 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의 현황과 문제점 을 살펴보고 해결방안과 함께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 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에서 문화예술을 공공재로서 다루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 문화예술코디네이터 제도의 필요성과 그들이 갖춰야 할 필요 역량과 양성방안을 검토하였다.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는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조성, 지역문화예 술 조직간 성장 및 네트워크 형성지원, 지역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 역문화예술 신규주체 및 의제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크게 4개로 분류하고 그 아래 29개의 소역량으로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수직적 정책 체계로 이루어졌던 지역문화예술 관련 사업들과 달리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가 활동할 수 있는 중간거점 조직으로써 지역문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
II.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
1. 지역문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2. 지역문화 관련 법과 제도
3. 문화예술관련 지원제도 운영의 문제점
4. 지역 문화예술 관련 인력 양성의 문제점
III. 지역문화예술의 현황: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1. 문화기반시설 운영에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IV.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제도의 운용에 관한 제언
1.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의 필요성
2.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의 필요역량 및 양성방안
3. 지역문화예술플랫폼: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위한 중간 거점
V.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희 Kim, Dohee.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박사과정
  • 김동일 Kim, Dong-il. 대구가톨릭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