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aracterizing regions based on visit, stay, and settlements population using mobile phone big data
초록
영어
Various efforts such as the influx of external visitors through tourism development, development of stay-type tourism to increase the visitor’s stay time, and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staying experience for local migration, have been put in place mainly by local governments that are facing regional crisi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local extinction. The frame of visit-stay-settlement was established based upon the framework of policy projects such as influx of visitors from the region, increase of stay time, and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tay for migration. In this frame, we use a latent class cluster analysis to group 250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with visit-stay-settlement attributes,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class clusters. In addition,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the four clusters and the local visit-stay-settlement conditions and tourism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with step-3 approach in latent class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each cluster i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local visit-stay-settlement and tourism conditions. This implies that local governments having different mixture of external visitors requires to establish different countermeasures or policies to prevent local extinction.
한국어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위기, 지방소멸이 거론되고 있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관광개발을 통한 외부 방문객의 유입, 방문객의 체류시간 증대를 위한 체류형 관광개발, 지역 이주를 위한 체류경험 기회 제공 등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서 방문객 유입, 체류시간 증대, 이주를 위한 체류경험 기회 제공 등의 정책 사업들의 틀 속에서 방문-체류-정주의 프레임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에서 전국 250개 기초지자체를 방문-체류-정주 속성에 따른 잠재계층으로 구분한 결과 4개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분류된 잠재계층과 지역의 방문-체류-정주여건, 관광여건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방문, 체류, 정주 단계별 현황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을 시도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이동과 방문-체류-정주
2.2. 방문-체류-정주의 속성
3. 연구설계
3.1. 연구 분석틀
3.2. 연구대상
3.3. 자료수집 방법 및 측정도구
3.4. 분석방법
4. 분석결과
4.1. 지역의 방문-체류-정주 속성 잠재계층 수 결정
4.2. 잠재계층과 지역 여건(방문-체류-정주 및 관광 여건) 간 상호관계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