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V드라마에 나타난 설화적 스토리텔링 연구 : <동백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Folk Storytelling in TV Drama : Fouse on <When Camellia Blooms>

박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a TV drama, , and oral literature, , comparatively and understands the narrative storytelling aspects of TV dramas. and can be summarized as ‘a story of women’s fate and favorable change in fortune’. First of all, this author considered ordinary women. Dongbaek in and the third daughter in are ordinary women. The abilities and activities of those ordinary women are very special. The third daughter has decerning eye to figure her spouse and native gold while Dongbaek has plain and honest nature never trying to use feminine beauty. Second, this study found the contemporary meaning of either fate or ‘my own fortune’. The third daughter’s fate originated from uprightness. She got forced out from home for her forward answer, which tells us her personality is her fate. It is overcome as the third daughter gets married to a charcoal-burning guy and obtains native gold. The third daughter finally comes to exhibit her competence as she is warmly received by the mother of three sons and the last son. ‘Hospitability’ here means ‘unconditionally positive concern’. The positive circulation of fate originated like this and is handed down to Dongbaek. Dongbaek is self-unreliable and self-downing. After leaving home and meeting Hwang Yong-sik, however, she comes to exhibit her talent of honesty and genial nature and recovers love. Hwang Yong-sik is a charcoal-burning guy to Dongbaek. In their meeting, the union of people in Ongsan Market, especially the women, worked absolutely. Therefore, the third daughter and Dongbaek’s ‘fortune’ exists within the network of hospitability, solidarity, and the exhibition of abilities, and so on. Third, let’s consider the meaning of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Here, we can find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daughter and Dongbaek. In the former, the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s manifested with her achieving wealth honor with her husband and finding parents to support them, that is the overflow of social relationship. Meanwhile, the latter ends the life led by others, thereby reaching the birth of her own subject. Also, in , the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s arranged within the mythical structure of confusion-pain-the recovery of order while in , it is put in aphoristic lines exchanged between Dongbaek and Yong-sik. Furthermore, the heart that Dongbaek reveals to Hyangmi and her mom also shows how those that have undergone agony sublimate that pain into fortune. It is ‘health in sickness’. In the linear view of the time, it seems impossible to reverse life that is overthrown so that it can be set and reset, but narrative storytelling grounded on the circulative view of the world functions in a way that makes it possible. This is a mythical time to give an answer to the ultimate question of human beings, ‘What motivates men to live?’, and it is the power of return.

한국어

이 연구는 TV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설화적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살 핀 것이다. 설화의 매체 수용과 변용은 문화콘텐츠 측면에서 친숙한데 <동백꽃 필 무 렵>은 ‘복’의 모티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내 복에 산다> 설화와 상호텍스트성의 내적 동질성이 드러난다. 먼저, <동백꽃 필 무렵>은 주체적 서민 여성을 재발견하는 의미가 있다. 가난하며 연고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집 나옴을 감행한 동백은 황용식의 헌신적 사랑에 힘입어 담백하고 정직한 태도를 견지하여 주점의 경영인으로 선다. 이 는 <내 복에 산다>의 가부장 질서에 저항하여 빈 몸으로 집을 나온 셋째 딸이 숯구이 총각의 환대로 감식안을 발휘하여 밭에서 금을 캐고 경제적 자립을 이룬 것과 같다. 다 음으로, <동백꽃 필 무렵>은 ‘인간이 어떤 복으로 살아가는가?’라는 데 초점을 둔다. 이에 두 텍스트 공히 자신의 복과 덕으로 산다고 표방한다. 이는 개인의 노력과 그 집 적이라는 것에서 나아가 자아실현의 생명력에 가깝다. 즉 생명의 활동과 순환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인간의 존엄이 있음을 뜻한다. 이로써 복은 무상으로 주어진 것이라는 그 통념을 넘어선다. 반면, <동백꽃 필 무렵>의 동백은 셋째 딸처럼 발복의 주인공이 지만 그 작용 원리는 상이하다. 셋째 딸의 경우 감식안의 능력 및 설화적 구조에 발복 을 배치하여 시간의 경과로써 완성되는 발복이었다면 동백은 상황을 전복시키는 아포 리즘적 대사와 자신의 시련과 고통의 경험을 통해 타자를 더 잘 이해하는 아픔 속의 건 강으로 그것을 이룬다. <동백꽃 필 무렵>은 운명과 발복 혹은 기회와 요행 앞에 혼란 스러운 현대인에게 설화적 환원의 시간을 즐기게 했다. 즉, <동백꽃 필 무렵>에서 ‘복’ 모티프의 설화적 상상력은 인간 삶의 보편적 질문들에 대한 당대 여성 대중의 선망을 보여주는 한편 시청자로 하여금 그러한 스토리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불가역적으로 느 껴지는 현실의 일상을 전복적으로 그리게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자기 신뢰의 주체적 서민 여성
Ⅲ. 삶을 일구는 생명력으로서의 복
Ⅳ. 발복의 전환적 대사와 아픔 속의 건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명숙 Park, Myeaong Suk. 창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