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여성 SF 문학에 나타난 장애와 포스트휴머니즘의 불구성(不具性)

원문정보

Disorder in Female SFs and Disability of Posthumanism

김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emale and the disabled constitute their identities by being excluded. In our society, exclusionary discourse produce plenty of severe social division, discrimination against and hatred towards minorities. In particular, bodies of women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are stigmatized as the incapable and inadequate beings, are subject to hostility and contempt. However, recently feminist literature is presenting the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with minorities as kind of feminist thinking. Raising an issue against the speculative thinking centered on the non-disabled, it ponders upon the possibilities of solidarity between feminism for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Regarding ‘a body deprived’, philosophy of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disability meet with each other. He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of thinking about the disabled and feminism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he disabled and disabilities in female SFs, considering the way the bodies of the disabled are represented. In recent female SFs, representation of disabilities is differentiated from a conventional guideline where they have been learned as an object of care, protection and consideration in our society. The disabled, who still exist even in the background of the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era, are not the beings of inability and deficiency. That is, they are not the beings of ‘certain state’ but ‘human’beings of the universal concept referring to all living things, or ‘Zoé’. Such a shift of perception gives us significant values in our life now. Perception of the ‘just beings’ blurs the distinction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orders and allows us to have an opportunity to stop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Female SFs do not recognize disabilities as a defect. In other words, disabilities are not a ‘problem’ to be corrected or eliminated but ‘Zoé’, definitely showing the subjectivity of disorders. In this sense, female SFs are producing the novel perception of the disabled and disorders.

한국어

여성과 장애인은 배제됨으로써 정체성을 구성한다. 우리 사회의 배제 적 담론은 심각한 사회분열과 소수자에 대한 차별, 혐오를 양산한다. 특히 불능, 부적합의 존재로서 낙인된 여성과 장애인의 몸은 적대와 멸시를 받 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여성 SF 문학은 여성주의적 사유로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비장애인 중심의 사유체계에 문 제 제기하며 비장애 여성주의와 장애인들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 이다. ‘결핍된 몸’이라는 점에서 여성주의 철학과 장애의 정치학은 조우한 다. 따라서 여성 SF 문학에 나타난 장애인과 장애에 대한 인식, 장애인의 몸에 대한 재현 방식 등을 고찰해 봄으로써 장애와 여성주의적 사유의 가 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의 여성 SF 문학에서 장애를 재현하는 양상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 에서 돌봄과 보호, 배려의 대상으로 학습되어 온 관습적 지침으로서의 장 애 인식과 변별된다. 여성 SF 문학은 장애를 결함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즉 장애는 고쳐야 하거나 제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그 자체임’으로서 의 장애 주체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기술과학 시대를 배경으로 하면서 도 여전히 재현되는 장애인은 불능, 결핍의 존재이기보다는, 다시 말해서 ‘어떤 상태’로서의 존재가 아닌 모든 생명체를 가리키는 보편적 개념으로 서 ‘인간’ 존재, ‘조에(Zoe)’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현재 우리 삶에서도 유의미한 가치를 제시한다. ‘그저 있음’의 존재라는 인식은 장애와 비장애 의 구별을 모호하게 하고 비로소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중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여성 SF 문학은 장애 및 장애인에 대 한 새로운 인식을 생산하고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여성 SF 문학에 재현된 장애 담
2.1. 완전무결한 몸에 대한 맹목적 지향
2.2. 비식별역으로서의 사이보그 신체
2.3. 성적 타자화와 무성적 대상화
3. 장애인 사이보그를 통한 윤리적 제언
3.1. 상호 의존성과 연대성의 수용
3.2. 생명 중심의 평등주의 실현
3.3. 신체를 초월하는 속도의 존중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정 Kim, Youn-Jung. 이화여자대학교 호크마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