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설산업에서 해외 건축물 인증제도를 통한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G-SEED)의 건강 수준 비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ealth Level Comparison and Improvement of the Domest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hrough the Overseas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이두환, 강성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SEED as representativ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domestically used was compared to internationally authorized BREEAM, LEED, and WELL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comparisons between IEQ field of G-SEED and the level of BREEAM and LEED for improving health and wellbeing, it was found that expanding the evaluation range to include other facilities classified by building uses of G-SEED was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G-SEED should be followed by benchmarking the evaluation standard (i.e., evaluation levels of LEED) which is universally covered by the IEQ field of BREEAM and LEED. By comparing BREEAM and LEED based on WELL, the field with the lowest contribution to G-SEED was Lights, followed by Sound. This could propose G-SEED after benchmarking relative elements of BREEAM and LE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산업의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인 G-SEED와 국제적으로 공인된 BREEAM, LEED, WELL 인증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건강과 웰빙 향상을 목적으로 G-SEED 실 내환경 분야(IEQ)를 BREEAM, LEED 수준과 비교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G-SEED의 건물 용도별로 구분된 기 준에 대해 다른 시설도 적용할 수 있도록 평가 범위에 대한 확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BREEAM과 LEED의 IEQ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평가 기준(즉, LEED의 평가 수준)을 벤치마킹하여 G-SEED에 적합하도록 제 안할 수 있다. 두 번째, WELL을 중심으로 BREEAM, LEED와 비교하였을 때, G-SEED에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이는 분야는 조명(Lights), 그 다음은 소음/음향(Sound)이며, 마찬가지로 BREEAM과 LEED의 관련 요소들을 벤치마킹하여 G-SEED에 적합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선행연구 및 인증제도 조사
2.1 선행연구 조사
2.2 인증제도 개요
Ⅲ. 분석 및 결과
3.1 G-SEED 건강 수준 분석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두환 Du-Hwan Lee.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차장
  • 강성미 Seong-Mi Kang. (주)아이티엠코퍼레이션건축사사무소 전무,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