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ystematically consider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methods offered in Korea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provide an evidence base for the application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ublished studies in a national journal for the last 10 year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0. The databases used for the search were RISS and DBpia. The search terms were ‘autism’, ‘autism spectrum’, ‘sensory integration’, and ‘intervention’. A total of 10 stud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which were analyzed at the qualitative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research evidence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Results : In the research analysis, the quality level of the evidence was highest at level IV, followed by level II.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evidence was the most common for ‘Good’ research, followed ‘Fair’. The study subjects wer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parents, and the experimental design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single-subject studies. Interventions have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confirming adaptive behavior and sensory modulation, and the evaluation tools used to measure interventions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sensory profiles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s (COPM). All 10 studies used in the analysi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various outcome values from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Conclusion : In the recent clinical environment,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methods and the high quality of the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제공되는 감각통합중재 방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로 하 였다. 검색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디비피아(DBpia)이었다. 검색어는 ‘자폐’, ‘자폐스펙트럼’, ‘감각통합’, ‘중재’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연구는 총 10개로, 연구 근거의 질적수준 과 방법론적 질적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대상자, 중재, 대조, 결과의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로 제시하였다. 결과 : 연구분석에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Ⅳ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수준 Ⅱ이었다. 근거의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우수’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보통’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과 부모이었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빈도가 가장 높았다. 중재는 적응행동과 감각조절을 확인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측정을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과 캐나다작업 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분석에 사용 된 10개의 모든 연구에서 감각통합중재로 인해 다양한 결과 값에 긍정적인 향상 및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 : 최근의 임상환경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중재방법과 근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 연구의 선정 기준
2. 검색과정 및 대상연구 선정
3. 대상연구의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
2. 연구근거의 방법론적 질적 수준
3. 연구 설계 및 연구대상자
4. 중재방법 및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