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Material Deprivation on Subjective Mental Health of Youth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effect of material deprivation o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of you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model were analyzed using the response data of 2,041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2021 Youth Social and Economic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deprivation of youth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s subjective mental health.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material deprivation o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of y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level of youth, it is necessary to not only strengthen public policies and systems to prevent the situation of material deprivation of youth in advance, but also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system by raising the level of 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는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 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에 참여한 청년 2,041명의 응답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조절효과 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 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물질적 박탈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년의 주관적 정신건강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청년의 물질적 박탈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공공정책 및 제도를 보다 강화할 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수준을 높여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하 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2 물질적 박탈감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