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Self-elasticity on Social Ability in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ontrol

김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whether emotional control has mediating effect on two factors based on infants’ self-elasticity on social ability. From January 20 to January 30, 2022, a three-stage mediating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based on data observed by the teacher in charge of 501 infant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elasticity of infants influenced social ability by mediating emotional control. At this time,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it was found that self-regulation of infants influenced social ability by mediating emotional control. It was found that infants’ initiative influenced social ability by mediating emotional control, and infants' self-esteem influenced social ability by mediating emotional control.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적능력에 미치는데 있어 정서조절이 두 변인간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22년 1월 20일 ∼1월 30일 사이에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501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담당교사가 관찰한 자료를 바탕 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분석으로 진행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 기조절은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주도성은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의 자존감은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모형
2. 측정도구의 신뢰도
3. 자료 분석방법
Ⅲ. 분석결과
1. 연구(측정)변수의 특성
2.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3.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경화 Kim, Kyung hwa.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