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장의 직무역량별 교육 요구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by the Principal’s Job Competency

강대구, 이병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school situation, Principal is main person for school operation. So principal’s job competency is very important for best performing schoo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many competency was found and made to questionnaire for needs assessmen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educational needs for principal competency and to find the needs difference along with principals’ traits as gender, age group, job career, supervisor experience, school level, school category as private school or public school.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needs for principal was school culture improvement centered on student autonomy, committee or self-sustaining organization activation in school, making the fair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ward system, parents involvement enlargement through various school program, school activities open and promotion, school budget involvement by school community and the impartial enforcement, frequent situation review and feedback for attaining the goal, obeying the principal ethics and law. Second, the educational needs for school principal had in woman, under 53age group and 54 and 55age group, under 29years career group and over 34years career group, public school principal group, primary school member and county administration office member group. But supervisor experience group had no difference.

한국어

이 연구는 학교장의 직무역량을 구분하고 각 역량에 따른 교육 요구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장 자격연수 수료생을 대상으로 성 별, 연령별, 교직 경력별, 소속기관 유형별, 소속기관별, 교육연수원 참여과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9년 12월 4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 한국교원대학 교 종합교육연수원에서 학교장 자격연수를 받은 수료자 중에서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 한 465명이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육 요구가 있는 역량은 학생자치 중심의 학교생 활문화 개선,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각종위원회 및 자생단체 활성화, 공정한 근무평가 및 보상체계 마련, 다양한 학부모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부모 참여 확대, 학교교육활동의 대 외적인 공개와 홍보, 교육공동체의 학교예산수립 참여 및 투명한 집행, 목표 도달을 위한 수시 상황 파악 및 환류, 교육지도자로서 윤리 강령 및 관련 법규 준수의 영역이었다. 교 장의 특성별로는 여성교장이, 53세이하 집단과 54-55세 집단이, 교육경력 29년이하 집 단과 34년이상 집단이, 국공립학교 교장이, 초등학교와 교육행정기관 소속자가 교장역 량에 대한 교육 요구가 있었고, 교육전문직 경험은 유의차가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는 학교장의 특성별 역량제고 연수프로그램이 성별, 연령별, 학교설립주체별로 차별화 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장의 역량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방법과 측정도구
2. 자료수집과 분석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응답자의 교육 요구
3. 응답자 특성별 직무중요도와 수행도 차이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대구 Kang, Dae-Koo.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농업교육과 교수
  • 이병환 Lee, Byung-Hwan.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