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Major 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Age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stages. The first step is basic certification, the second step is process certification, and the third step is performance certification. Secondly, it is a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areas for each certification stage. The first course of basic certification consists of context evaluation and input evaluation areas according to the CIPP model, and the context evaluation consists of curriculum analysis and curriculum design stages. The analysis of curriculum included 23 detailed elements i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alysis and the needs analysis of current students, graduates, and industry. The input evaluation was targeted at the curriculum composition area,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major competency: based curriculum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majors. The second step of course certification consisted of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were evaluated as evaluation factors in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completion system, and the appropriateness of efforts to improve major competency. The operation of the course of the major curriculum was to lead basic-> core-> advanced-> application for integration. The third step of performance certification consisted of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 areas, and the validity of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 linkage between curriculum improvement taken as evaluation factors.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performance was measured, and the learning outcomes were targeted for the use of absolute evaluation,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nd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in order to measure performance. In order to induce various curriculum experiences, the second majors were activated, and the rubric evaluation (LGM: Large Group Meeting) was used to measure the major competency of the second majors. For curriculum improvement, suggested to be set up the major competen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
한국어
이 연구는 4차 산업시대 대학교육 품질관리를 위한 전공 교육과정 인증체계를 제시하 는데 있다. 이를 위해 11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의 2차례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실 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교육과정 인증체계는 총 3단계로 이루어 졌다. 1단계는 기본인증, 2단계는 과정인증, 3단계는 성과인증이다. 둘째, 인증 단계별 평가영역 구분이다. 1단계 기본인증은 CIPP모형에 따라 맥락평가와 투입평가영역으로 결정했고 맥락평가는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정 설계단계로 짰으며 교육과정 분석은 대 내·외 여건분석, 재학생, 졸업생, 산업체 요구분석에서 23개 세부요소를 포함했다, 투입 평가는 교육과정 구성영역을 대상으로 했고, 주전공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구성의 타 당성과 전공 다양성을 위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타당성을 확인했다. 2단계 과정인 증의 과정평가는 교육과정 운영으로 구성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성, 교육과정 이수 체계의 적절성과 전공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 적절성을 평가요소로 했다. 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운영은 전공역량별로 기초->핵심->심화->응용으로 이어지도록 통합성을 유도 했다. 3단계 성과인증의 산출평가는 교육과정 평가, 환류 영역으로 조직했고 교육과정 평가의 타당성과 교육과정 개선의 연계성을 평가요소로 했다. 교육과정 평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 수행력을 측정하도록 결정했고, 학습성과는 수행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절대평가 활용, 자격증 취득 및 학습참여도를 대상으로 하도록 했다. 다양한 교육과정 경험을 유도하기 위해 2전공을 활성화 하도록 했고, 2전공의 전공력량 측정으로 팀별 루브릭 평가(LGM: Large Group Meeting)를 유도 했다. 교육과정 개선 의 연계성은 전공역량과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사용을 제시했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 인증
2. 교육 품질관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전문가 자문
3. 전문가 자문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전공 교육과정 인증 초기 모형
2. 전공 교육과정 인증체계 확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