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TS교통정책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의 잠재적 이용자 집단 간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에 관한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Importance Rank of Service Components of Autonomous Mobility-on-Demand Service by Potential User Groups

서성주, 김진희, 이재형, 양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autonomous mobility-on-demand services will increase. Considering its complicated service components, including vehicle convenience, driving and matching speed, and platform convenience, the priorities of them will need to be determined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rank of each service component through an online survey of potential users of autonomous mobility-on-demand services. As a result of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ith respect to the upper-level components, driving and matching speed component is selected 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platform convenience and vehicle convenience. Mean rank analysis with respect to lower-level components showed that the in-vehicle congestion level of vehicle convenience, waiting time of driving and matching speed, and pre-booking availability of platform convenience each ranked first. Additional analysis regarding each group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group-specific strategy. As a result, it would be better to focus on a vehicle than a mobile platform when designing services for the region with a high proportion of the older. Moreover, it is recommended to speed up the driving and matching speeds more than the current public transport, alleviate in-vehicle congestion, and enable the users to book the schedule in advance.

한국어

장차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수요응답형 서비스가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써 널리 퍼질 것으 로 예측된다. 차량 편의성, 이동/배차 신속성, 플랫폼 편리성 등 여러 서비스 요인을 내포하는 만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서비스 요소별 우선순위가 파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의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를 통해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였다. 상위 항목에 대하여 AHP(분석적 계층화 과정) 분석 결과, 이동/배차 신속성, 플랫폼 편리성, 차량 편의성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 다. 하위 항목에 대하여 평균 순위 분석 결과, 차량 편의성은 차내 혼잡도가, 이동/배차 신속성 은 대기시간이, 플랫폼 편리성은 이용시간 예약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자 집단별로 차별화된 접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집단별 분석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 층이 많은 지역에 서비스를 도입할 때는 모바일 플랫폼보다 차량에 더 중점을 두고, 자가용 보유자가 많은 지역에서는 기존 대중교통 대비 이동과 배차를 빠르게 처리하고, 차내 혼잡도 를 낮추며, 이용시간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고찰
Ⅲ. 연구 설계
1. 설문 대상
2. 설문 설계
Ⅳ. 분석 방법
Ⅴ. 분석 결과
1. 전체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경향성 분석
2. 연령에 따른 집단별 비교 분석
3. 자가용 보유 여부에 따른 집단별 비교 분석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성주 Sungju Seo.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과정
  • 김진희 Jinhee Kim.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부교수
  • 이재형 Jaehyung Lee.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통합과정
  • 양병수 Byungsoo Yang.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