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세기(18〜19세기) 동아시아 삼국 문인화 비교

원문정보

A Comparative on the Literary Painting of the Three Kingdoms of East Asia in the Modern 18th to 19th centuries

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at the literary and artistic paintings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re unique aesthetic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spirit of Beopgo Changshin(法古創新), and to examine the literary and artistic paintings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context of cultural homogeneity.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in the modern centuries included the Qing period,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Edo period. This period was a period when changes began with modernity cultural phenomenon of people’s culture and the early introduction of the Western painting method. The orthodox painting style, which began in the early Qing Dynasty in the 17th century,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East Asian Three Kingdoms painting exchange, which was introduced to Joseon and Edo in the 18th century, and many painters were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In this process,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the trends of painting in each country in the recent century (18-19th century). Focusing on this point,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literary paintings of the East Asian Three Kingdoms in the recent century (18-19th century). The literary painting of Korea and Japan that influenced from the literary painting of China relied more heavily on pictorials than actual literary painting works of China. There were many imitative works, but each independently seeks change to express its own way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The literary painting was known as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southern school literary painting,’ and ‘southern painting( Namhwa).’ These names were rooted in the literary painting of China. The original Korean southern school painting was established by Gyeomjae Jeong Seon(鄭敾, 1676~1759) and Hyunjae Sim Sajeong(沈師 正, 1707~1769) in the late Joseon period with climatic beauty and a unique aesthetic view of Korea. The literary painting of Japan was developed into a reinterpreted, independent Japanese southern painting by Ikeno Taiga(池野大雅, 1723~1776) and Yosa Buson(與謝蕪村, 1716~1783) after the mid-18th century with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Japan and expressive method of the Namjong painting.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literary painting style that was popular in the recent century (18th-19th century) in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lthough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근세기(18~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문인화가 법고창신(法古創 新)정신을 바탕으로 한 특색 있는 동아시아 미적 문화유산임을 확인하고, 삼국의 문인 화를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 맥락에서 고찰해보는 데 있다. 근세기 동아시아 삼국은 청 대(중국), 조선 후기(한국), 에도시대(일본)이다. 이 시기는 서민문화의 흥성이라는 근 대성문화 현상과 초기 서양화법 도입으로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였다. 17세기 청나라 초기에 시작된 정통파 화풍은 동아시아 삼국 회화교류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는 데 18세기에 조선과 에도에 전래되어 19세기에는 많은 화가가 배출되었다. 이런 과정 에서 근세기(18〜19세기)에는 각국의 회화 경향이 일정 정도 차이가 나타난다. 본고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근세기(18〜19세기) 동아시아 삼국 문인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중국문인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과 일본의 문인화는 중국의 문인화를 실제 작품 보다 화보류(畵譜類)에 많이 의존하였으며, 방작(倣作)도 많았으나 각기 독자적으로 변화를 모색하여 고유한 표현방식과 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문인화의 명칭은 ‘남종화’, ‘남종문인화’, ‘남화’라고 하였는데 중국의 문인화에 근원을 둔 별칭들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문인화는 조선 후기에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현재(玄 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 등에 의해 우리의 풍토미와 고유의 심미관이 토착 화된 독창적인 한국적 남종화로 확립되었고, 일본의 문인화는 18세기 중엽 이후 이케 노 타이가(池野大雅, 1723~1776)와 요사 부손(與謝蕪村, 1716~1783) 등에 의해 일본 전통기법에 남종화의 표현기법을 더하여 재해석된 독자적인 일본풍 남화로 확립 되었다. 이상과 같이 한중일 삼국에서 근세기(18〜19세기) 유행한 문인화풍은 공통점 이 있지만 각각 다른 특징을 보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18〜19세기 청대 문인화의 흐름과 특성
III. 18〜19세기 조선 문인화의 흐름과 특성
IV. 18〜19세기 일본 에도 남화의 흐름과 특성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옥희 Kang, Ok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