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藕船 李尙迪 詩書의 儒家美學的 고찰

원문정보

A Confucian Aesthetic Study of Useon Lee Sangjeok’s Poetry and Calligraphy

우선 이상적 시서의 유가미학적 고찰

이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seon was Chinese interpreter, a poet and a Chusa's disciple. so the human network he built while traveling to and from China became cultural exchange channel. Then, it provided a chance to distribute literature, epigraph,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exchange academic traditions and the trend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between Joseon and the Qing. Chusa's theory of heaven-gifted nature and Dong Qichang's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hich emphasize the expression of the artist's individuality and self, and the orthodox styl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of the six painters in the early Qing Dynasty had a great influence on Useon’s academic and artistic recognition. Useon’s artistic world developed into a clear and elegant aesthetics of the spirit of a Confucian scholar with a firm backbone and a noble character, which he cultivated from his ceaseless activities. It is evident in the Qing dynasty scholars’ comments about and the correspondence with his Chusa. It not only raised the value of but also has literary and aesthetic implications that tell the dep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When Chusa composed after ascertaining the stone arrowheads he discovered during exile in Bukcheong through historical research, Useon saw the poem and composed , sending one on to his teacher Chusa and the other to his disciple O Gyeongseok. It was his Confucian practice of the phrase in the Confucian Analects: I daily examine myself on whether I may have not mastered and practiced the instructions of my teacher. The characteristics of Useon’s poetic and calligraphic aesthetics based on this thought are consistent with Confucian thought with an elegant taste and a firm backbone. His work written in semi-cursive script contains the spirit of respectfulness that he engraved sincerity, courtesy, and diligence in his heart. He emphasized the backbone of calligraphy in the structure of dots and strokes. Dialectical relationships such as the yin-yang relationship in disposition, the dark and light ink, and the old and new style are clearly and harmonized. In addition, some paintings mainly about him have been created, forming a cultural discourse. His aesthetic activities changed a beautiful virtue in emotion into a proper behavior and linked to the realization of dignified beauty and humanity. Therefore, his calligraphy and painting activities focus not only on painting and theory but also on discussing the interests and emotions of calligraphers and poets. In the end, we can say his aesthetic consciousness is the recognition of Benevolence in Confucianism as it is realized as a pure and elegant aesthetic feeling as gentle energy and elegant taste flow according to the true heaven-gifted nature.

한국어

藕船은 譯官으로 시인이자, 秋史의 제자이다. 그가 중국을 오가며 구축한 인 적 네트워크는 문화교류의 통로가 되어 朝ㆍ淸양국의 문헌과 금석, 서화가 유통되었 고 학풍이나 서화의 풍조까지 조성하였다. 따라서 작가의 개성과 자아의 표현이라는 秋史的性靈論과 동기창 서화론의 저변화, 그리고 四王吳惲으로 대표되는 정통파 서화 풍 등은 藕船의 학문과 예술적 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藕船의 예술세계는 부단한 학문적 사유 활동으로 다져진 꿋꿋한 기개의 선비 정신과 고상한 기풍의 맑고 고아한 미학 정신으로 전개된다. 이런 점은 <歲寒圖>를 둘 러싼 청나라 문사들의 발문과 秋史와 서찰을 주고받는 등 일련의 과정에서 잘 드러난 다. 이들 일련의 사건들은 <세한도>의 가치를 더욱 상승시켰을 뿐만 아니라, 朝ㆍ淸간 묵연의 깊이를 말해주는 문학적 미학적 담론들이 수놓아져 있다. 또한 秋史가 북청 유 배시에 발견한 돌화살촉을 고증하여 <石砮詩>를 짓자, 藕船은 그 시를 보고 <肅愼石 砮>라는 제시를 지어 하나는 스승 秋史에게 다른 하나는 제자 오경석에게 전수한다. 이른바『論語』「學而」의 ‘전수받은 것을 제대로 전하지 못한 점은 없었는지[傳不習 乎]’에 대한 유가적 실천이었다. 이러한 사유를 바탕으로 전개된 藕船詩書美學의 특징 또한 고아한 아취와 굳 센 골기를 지닌 유가적 사유로 일관된다. 이는 행서 작품 <湯盤翡翠>에 드러나듯이 慺, 傴, 俯를 마음에 새긴 敬의 정신과 서예의 골기를 중시한 점획과 결자, 장법 상의 음양 관계와 묵운의 농담 및 풍격의 고금 등 제반 변증법적 관계가 뚜렷하고 조화롭게 구현 되고 있다. 또한 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그림들은 흥미로운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藕船의 이러한 審美활동은 감성 속의 美德이 美行으로 나타나는 격조 있는 아름 다움과 인간다움의 실현으로 연계된다. 따라서 藕船의 詩ㆍ書ㆍ畵활동은 그림과 서화 론 뿐 아니라 그림과 글씨를 쓰는 사람, 그리고 제화시를 짓는 사람에 대한 관심과 정 을 논하는 부분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결국 藕船의 심미의식은 진정한 성령활동에 의 해 순연한 淸氣와 雅趣로 유동하면서 맑고 고아한 미감으로 구현되어 儒家에서 말하는 소위 仁의 구체적인 體認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藕船詩書미학사상의 형성 배경
1. 詩書미학사상의 형성 기저
2. 연행 및 국내외 文士와의 교유
Ⅲ. 藕船詩書의 유가미학적 추구
1. 經世意識的士氣미학 추구
2. 高風絶塵的淸健미학 추구
Ⅳ. 藕船詩書의 유가미학적 특징
1. 士氣美學的骨氣美구현
2. 淸健美學的雅趣美구현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필숙 Lee, Pil Suk.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