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고창 봉덕리고분군 축조세력의 성장과 쇠퇴

원문정보

A Study on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Power Group Who Constructed the Old Tombs Cluster in Bondeok-ri, Gochang-gun

이문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ld tombs cluster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gun has been evaluated as a relic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indirect regional governance system through the high-class artifact transfer customs of the elite groups during Baekje. In other words, the old tombs were built by accommodating the stone chamber (main burial facility) of the central Baekje in addition to Mahan's tradition of mounded tombs (multiple burials and encircling ditch facilities). An analysis of the ruins surrounding the Bongdeok-ri tombs cluster revealed that Mahan's local power groups grew and developed through direct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King Geunchogo of Baekje during the attack process toward south initiated during his 24th reign year (369). In particular, from analyzing the remains and relics excavated from the nearby Mandong ruins, the forces are judged to be the founding group of the Bongdeok-ri tomb cluster. Judging from the prestige goods such as gilt-bronze shoes, etc. excavated from the Bongdeok-ri tombs cluster, its construction group is presumed to have been the highest local elite group in Gochang area who had been guaranteed a certain position from the central Baekje. Since no more burial facilities were built in the Bongdeok-ri tombs cluster during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such tombs seems to have gradually declined due to change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five-province rule: direct control) that came into force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by King Seong of Baekje and the change of Silla policy following the kill of King Seong in battle. To sum up, the group that built the mounded tombs in the Asan-myeon area as the dominant local force during the 3rd and 4th centuries started the exchange with the central Baekje, grew and developed into the highest local power group in the Gochang region, and survived thanks to recognition of the Baekje central gover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ombs left behind by these forces are identified as the Bongdeok-ri tombs cluster. Because of various policy changes carried out under the reign of King Seong of Baekje in the 6th century,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forces of the Bongdeok-ri tombs cluster entered the path of gradual decline.

한국어

고창 봉덕리고분군(1호분)은 백제의 위세품 사여를 통한 지방간접지배체제의 양 상을 파악할 수 있는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즉, 마한의 분구묘 전통(다장·주구시 설)에 백제 중앙의 석실(주매장시설)을 수용하여 조성하였다. 봉덕리고분군의 주변 유적을 분석한 결과 마한의 재지세력이 백제 근초고왕 24 년(369) 단행된 남방 경략 과정에 협조하고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성장-발전하였 다. 특히 인접한 만동유적은 유구와 출토유물을 분석한 결과 이들 세력이 봉덕리고 분군의 기층세력으로 판단된다. 봉덕리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등의 위세품으로 볼 때 봉덕리고분군의 축 조세력은 백제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지위를 보장받은 고창지역 일대의 최고 재지 수장층으로 추정된다. 6세기 중·후엽 봉덕리고분군에서 더 이상의 매장시설이 축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백제 성왕의 사비 천도 후 단행된 지방통치체제의 변화(五方制:직접지배)와 성왕의 전사에 따른 신라 정책의 변화로 인해 점차 쇠퇴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리하면 3∼4세기 재지세력인 아산면 일대 분구묘 축조세력은 백제 중앙과의 교류를 시작으로, 성장 발전하여 고창지역의 최고 재지 수장층으로 성장하여 백제 중앙으로부터 일정 기간 그 지위를 인정받으며 존속하였다. 이들 세력에 의해 남겨 진 분묘가 봉덕리고분군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6세기 백제 성왕시기의 여러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해 봉덕리고분군 축조세력은 쇠퇴의 길로 접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주변유적의 검토
3. 주변유적의 특징과 그 성격
4. 봉덕리고분군과 백제 중앙과의 관계
5. 봉덕리고분군 세력의 쇠퇴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문형 Lee Moon 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