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전북철도 110년, 사회경제사적 의의와 미래 : 군산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wo Centuries of the Jeonbuk Railway(1912-2022), the Socioeconomic Significance and Future : Gusan Line

김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a prevalent view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society’s modern times was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ports were opened to foreign trade. Particularly regarding transportation at that time, transportation means changed significantly as modern ports were open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ransportation by water, new harbors were built up, and roads and railroads were developed. As part of this trend, the necessity to examine local rail traffic was highlighted. At the time of port opening and national liberation, Jeollabuk-do regions including Gunsan went through unique historical experiences. After ports were opened in 1899, the ‘exploitation and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came a significant feature i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Jeollabuk-do. At the time of opening, Gunsan Port was well known for its geographical conditions at the mouth of Geumgang River with the Honam plains, one of the prominent grain belts in Korea, right behind it. In addition, there was no other comparable harbor in the central part of the West Coast area, and it wa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n advanced base for trading with China. For such reasons, this port was opened on May 1, 1899.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ransportation, one noteworthy aspect was that after its opening in 1899, the role of Gunsan Port was further emphasized and that the Gunsan Line was also opened along with the Honam Line in 1912. The Gunsan Line leading from Gunsan to Gaejeong, Jigyeong(Daeya), Impi, Osan, and Iksan is a short branch line that was opened in 1912 as part of the Honam Line. As a result, however, the socio-economic structure changed significantly such as transportation mainly for rice and passenger service, expansion of the railway station sphere, population increase, inroads of foreign capitals and goods into domestic markets, and decline of traditional Ganggyeong and Korean brokers. The railroad of Gunsan thereafter expanded further from Gunsan Station to Gunsan Port Station (behind the current customs office), Paper Korea Line that still remains, Okgu Line, and inland railway of the industrial complex (As the Janghang Line was extended in 2008, it was relocated to new Gunsan Station, and previous Gunsan Station was converted to Gunsan Freighter Station temporarily and then demolished later). Now that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 Gunsan Line was first opened and now even the name itself is forgotten,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harmonious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local railroa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long-term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in line with such changes in the environments and conditions such as demolished sites and newly built railroads in this reg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reative ideas are gathered to develop philosophies and to find new governmental projects to link national infrastructures.

한국어

한국사회에서 ‘근대의 기점’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개항을 전후로 한 시 기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특히 그 시기 교통을 중심으로 특징을 간추리면, 이 전의 수운(水運)과 함께 근대적 항구의 개항과 항만 건설 및 도로와 철도 부설 같 은 운송수단의 변화가 그 중심을 이룬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 지역의 철도교통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놓여있다. 개항에서 해방에 이르는 시기, 군산을 비롯한 전북지역 역시 독특한 역사적 경 험을 한다. 즉 1899년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에 경험했던 ‘수탈과 개발’이라는 역사 는 전북지역의 사회경제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개항 당시 군산항은 금강하구의 입지 조건과 그 배후에 국 내 유수의 곡창지대인 호남평야가 광활하게 전개되고 있었던 점이 평가되었다. 또 한 서해안 중부권역에 이에 버금갈 양항 (good port, 良港)이 없었고, 중국 대륙과 의 교역에서 전초기지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1899년 5월 1일 개항된다. 특히 교통과 관련하여 무시할 수 없는 것은 1899년 개항 이후 군산항의 역할 증대와 함께 1912년 호남선과 때를 같이하여 군산선이 개통되는 점도 주목된다. 즉 군산에서 개정, 지경, 임피, 오산, 익산에 이르는 군산선은 호남선 지선으로 1912년 개통된 짧은 단선이었다. 그러나 쌀을 중심으로 한 화물과 여객 수송은 물론 영향 권의 확장과 인구 증가, 외지 자본과 물자의 시장 잠식, 전래의 강경과 조선인 객 주들의 쇠퇴 등 많은 측면에서 지역의 사회경제구조를 크게 변용시켰다. 군산의 철도는 이후 군산역에서 군산항역(지금의 세관 뒤)은 물론 현재 남아있 는 페이퍼코리아선이나 옥구선에 이어 산업단지 인입철도 등으로 확장되어진다 (2008년 장항선의 연장에 따라 신군산역으로 이전하고 구 군산역은 일시적으로 군 산화물선역으로 바뀐 후 철거됨). 군산선 개통 110년을 보내며 이제는 그 이름마저 사라진 상황에서 지역철도의 환경 변화에 따른 연계 발전에 대해 기대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즉 지역 내 폐선 부지를 비롯한 신설 철도 등 환경과 여건의 변화에 따른 장기발전·관리방안을 모 색하며, 국가 기반시설 간 연계 가능한 신규 국가사업 발굴 및 논리 개발을 위해 참신한 지혜가 모아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철도연구사 검토
3. 군산선의 사회경제사적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영 Kim, Min-young. 군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