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소규모 건설현장 화재 위험요인 안전관리 운영실태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Operations of Fire Risk Factors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문필재, 공하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of fire safety management of small construction site workers, deriving problems,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practical basic data for their efficient use in the futur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analyzed that small construction site workers are elderly in the age group of construction workers, have short construction skills, most of the jobs are wo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employment type is non-regular workers. Second, the fir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plan of small construction site workers is systematized, fire safety manager is deployed to manage fire risk, fir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warning facilities are provided to inform all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are needed through realistic evacuation training, fire VR training, and interesting educational programs.

한국어

이 연구는 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의 화재안전관리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 함으로써, 향후 이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는 건설기능인력의 연령대가 고령자이고, 종사경력은 건설기능 력이 짧았으며, 직종은 대다수가 건축공종에 작업을 하고 있으며, 고용형태는 비정규직 일당제로 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들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화재 위험성 요인에 대한 허 가와 관리를 체계화하고, 화재위험관리를 위해 소방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리감독하는 장치가 필요하겠으며, 화재시 다양한 피난통로 확보와 화재 발생을 건설공사 현장 내 모든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경보설비를 갖추고, 피 난경로 접근과 시야 확보가 취약한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간이피난유도선과 비상조명등을 임시소방시설로 설치를 강 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대피훈련, 화재VR훈련, 흥미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고찰
Ⅱ. 건설현장 화재 발생요인
1. 가연물
2. 용접 용단 화기 작업
3. 인화성물질
Ⅲ. 건설현장 현황분석
1. 연령분포
2. 종사 경력
3. 직종
4. 고용형태
Ⅳ. 소규모건설 공사현장 화재요인실태분석
1. 가연성 자재 방치
2. 화기작업 관리소홀
3. 화기취급과 인화성물질 작업 동시 진행
4. 피난 통로 식별 어려움
Ⅴ. 건설현장 화재위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가연물관리의 문제점
2. 화원 관리의 문제점
3. 화원 및 인화성물질 취급 동시작업 문제점
4. 피난로 확보 문제점
5.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
6. 화재안전관리개선방법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문필재 Pil-Jae, Moon. 우석대 일반대학원 소방·안전공학과 박사과정
  • 공하성 Ha-Sung, Kong.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