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淸代의 金農과 伊秉綬의 隸書 작품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he Calligraphy Theory between Jin Nong and Yibingshou in the Qing Dynasty

청대의 김농과 이병수의 예서 작품 비교연구

장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ise of epigraphy and textology, and the emerge of many famous outstanding clerical script masters, Qing Dynasty becomes another important innovation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the clerical script. Jin Nong and Yi Bingshou are two important clerical script masters in the Qing Dynasty. Thus, researches on the courses of their careers as well a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se two calligraphers, Jin Nong and Yi Bing, are specially important .The comparative study of Jinnong and Yibingshou's clerical script is a relatively new subject, which is entered from the angel of comparative perspective between their clerical scripts works. Through an in-depth research on different inheritance routes, which are origin from Han Dynasty clerical scripts, of Jin Nong and Yibingshou, it is found that these two calligraphers are different in innovation of clerical script style, theory of calligraphy and of clerical script practice. This paper focuses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fferent clerical theories and clerical script works between Han Dynasty, Jinnong and Yi Bingshou. A comparative study of clerical script works of Jin Nong and Yibingshou in Qing Dynasty provides a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on these two calligraphers; meanwhile, it provides valuable learning paths for later calligrapher in the field of clerical script, and can be regarded as references in the innovation of the official script style.

한국어

청대의 예서는 중국서예의 역사에 혁신을 불러왔다. 서예에 있어 중요한 금석학과 고증학이 청시대에 들어와 발전하였고, 그리하여 예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청시대예 들어와 적지 않은 서예가들이 출현하였고, 특히 금 농(金農:1687-1763)과 이병수(伊秉綬:1754—1815)은 중국의 서예의 역사에 있어 예서체가 자리 잡는데 핵심적인 역학 을 한 서예가들이다. 금농과 이병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두 예서체의 대가들이 남긴 그들의 작품을 비교분석하여 예서의 미적 가능성을 현재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나아가서는 서예가로서 금농과 이병수의 예서작품을 비교분석하여 예서의 미적 차이점을 구체화 한다. 나아가서 두 서예가의 예서가 한대(한자)의 예서를 전승함에도 불구하고 청시대의 예서사에 자리매김한 원인이 탐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시대의 예서와 금농과 이병수의 예서체 그리고 서예의 사상과 그들의 서예작품은 예서를 비교 및 연구한다. 청시대의 서예가인 금능과 이병 수 작품에 대한 비교분석은 예서의 역사적 그리고 미학적 판단에 중요한 화두를 제공한다. 이는 후세의 서예가들에게 예서체를 배울 수 있는 길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서예의 역사적 그리고 미학적 가치를 연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금농과 이병수의 예서 학습의 기반
Ⅲ. 금농과 이병수 서예학 사상의 차이점
Ⅳ. 금농과 이병수의 예서 작품의 차이점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뢰 Zhang Lei. 정회원,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