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214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program of universities located in G area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were targe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frequency analysis,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cores of academic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college. Third, The score of the level of attachment to universities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grade, it was found that the third-grade group had a high level of attachment to universiti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thes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학습 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2학년 1학기 G지역 소재 대학의 학습 프로그램에 참 여한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과대학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 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 집단의 대학에 대한 애착 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 집단의 대학에 대한 애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에 대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문제
Ⅲ. 연구설계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설계
4. 연구절차
5.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미치는 영향
2. 단과대학, 성별,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점수의 차이
Ⅴ.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