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코로나19 발생 전후 상권 생존율 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business closure rat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using survival analysis - Focused on Gangnam-gu, Seoul and Suseong-gu, Daegu

박진백, 김민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survival rate of commercial distric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y analyzing Gangnam-gu, Seoul and Suseong-gu, Daegu as independent regions, although the background and distribution of commercial districts are similar. In the basic analysis, the size of the commercial districts was much larger in Gangnam-gu, Seoul,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by industry was similar. In both regions, there were more openings than closing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in common, but as the COVID-19 outbreak occurred, the closure ratio of businesses centered on face-to-face services in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surviva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most industries were indifferent to the risk of closure of private institutes before Corona 19, but after the outbreak of Corona 19,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closure of private institutes increased, especially in Daegu, which was the initial spread of Corona 19.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rvival rate between regions, it was analyzed that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n Gangnam-gu increased relatively after the outbreak of Corona 19, confirming that the contraction in the commercial area of S eoul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was greater.

한국어

본 연구는 상권의 형성 배경이나 분포 등이 유사하지만 지역간 독립적인 지역으로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 를 분석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전후 상권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기초분석에서는 상권의 규모는 서울 강남구가 훨 씬 더 크지만, 업종별 분포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두 지역은 공통적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는 개업이 폐 업보다 많았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함에 따라 대면서비스 중심의 업종의 폐업배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생존 분석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대부분의 업종이 학원의 폐업위험과 무차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학원 의 폐업위험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초기 코로나19 확산지역이었던 대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역 간 생존율을 비교를 한 결과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상대적으로 강남구의 폐업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어 유 동인구가 많은 서울 상권의 위축이 더 컸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실증분석 모형 및 데이터
Ⅲ. 실증분석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진백 Jinbaek Park. 정회원,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부연구위원
  • 김민섭 Minseop Kim. 정회원, 한국부동산원 토지통계부 차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