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ison of working alliance, session evaluation and participants'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clients by counseling media - Comparison of face-to-face, phone, video, and video with digital mask counseling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on-line counseling modalities (phone, video, and video counseling using digital mask) differ from face-to-face counseling in terms of client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depth and smoothness of each session, satisfaction, and their qualitative counseling experience. 4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ivided into 4 groups, received 3 personal counseling sessions per person. The quantitative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counseling groups in working alliance. Also, the "depth" of the session was similar in the four groups, but phone and video with mask counseling group who did not expose their faces showed higher "smoothness"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than face-to-face counseling group, indicating that anonymity was helping the clients’ inhibition overcome. Through the post-interview data, subtle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each counseling method were identified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arious online counseling modalitie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전화, 화상, 디지털가면을 활용한 화상상담 등 3가지 온라인상담 방식과 대면상담이 회기별 깊이 및 순조로움, 작업동맹, 그리고 사후만족도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고 사후 면접을 통해 내담 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40명의 대학생들은 4집단으로 나뉘어져 각 3회기씩의 상담을 받 았고 매회기 직후, 혹은 상담 종료 후 설문 혹은 면접조사가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회기의 ‘깊이’에 대한 평가는 4집단 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전화와 가면화상상담에서는 대면상담에 비해 1, 2회기에 ‘순조로움’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 로 나타나, 온라인상담에서 익명성이 보장될 때 내담자의 사회적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회기 작업동 맹 수준과 상담만족도는 4가지 상담방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면접자료를 통해 각 집단 참 여자들의 미묘한 경험 차이들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온라인상담 방식을 개발하고 실행해 나가는데 기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방법
1. 연구참여자
2. 실험설계
3. 측정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2. 상담 회기별 회기 평가(깊이, 순조로움)의 집단간 비교
3. 상담 회기별 작업동맹의 집단간 비교
4. 상담 사후 만족도 집단간 비교
5. 내담자 경험에 대한 사후면접 내용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