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동기 사회의 시간성 교란과 노화 혐오

원문정보

Disconcertion of Temporality in Asynchronous Society and the Gerontophobia

박승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the ageism or the gerontophobia is becoming a global issue. The life expectancy of mankind continues to increase, and as a result,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face the same problem. Therefore, it becomes a hot issue to build a social safety system that can support the life of the senior generation. However, a more fundamental issue is our perception of the life of the old ag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life of the old age make it difficult to solve problems, as shown by the phenomenon of the ageism. So, many people have pointed out it is important to escape from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life of the old age. The disgust of the aging has never been ceased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But the gerontophobia of nowaday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In traditional societies, the aging was repugnant, but it was also an inevitable fate. It was useless to resist the aging, but today it does not seem meaningless to resist the ag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ication the changing aspects of the gerontophobia today. I will show the motive of that change is the change of our temporality in the asynchronous society. I hope, it help us to understand why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geism, even if it does not provide a direct solution.

한국어

오늘날 노년의 삶 문제는 전지구적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인류의 기대 수명은 계속해서 늘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가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런 탓에 노년의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뜨거운 화두이다. 하지만 그런 정책적인 노력에 앞서 더 근본적으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는 노년의 삶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다. 노인 혐오 현상이 보여주듯 노년의 삶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노년의 삶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노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뿌리는 노화 자체에 대한 혐오다. 늙고 병들어 사멸해 가는 과정에 대한 두려움과 혐오가 그것이다. 이러한 노화 혐오는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끊임없이 지속해 온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오늘날의 노화 혐오는 과거의 그것과는 다르다. 전통 사회에서 노화는 혐오스러운 것이기는 했지만 피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따라서 노화에 저항한다는 것은 부질없는 일로 여겨졌다. 하지만 오늘날 노화에 저항하는 일은 그렇게 무의미한 일이 아닌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변화하고 있는 노화 혐오의 양상 변화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시간성 개념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살펴볼 것이다. 비록 이러한 작업이 우리 사회가 부딪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더라도, 왜 그 문제의 해결이 쉽지 않은지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노년의 삶과 노화 혐오
2. 비동기(asynchronous) 사회와 시간성(temporality) 교란
3. 시간성 교란의 한 효과: 노화 혐오의 양상 변화
4. 맺음말: 항노화(anti-aging)와 양가감정의 균형 상실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승억 Park, Seung Ug.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