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지배의 강제적 차원과 이데올로기의 관계 : 이데올로기의 전달과 수용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rrelation between Coercive Factors of Domination and Ideology in Marxist Theory :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Ideology

이기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last decades, discussions of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domination in modern society have oscillated between ideas of coercion and legitimation. This oscillation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jor modes of power has not been thoroughly identified. This study probes the theoretical basi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in domination, while reviewing the arguments around the ‘Dominant Ideology Thesis’. This study will, first of all, examine Nicholas Abercrombie and his colleagues’ criticism of the Thesis as well as the issue of the transmission of ideology. Second, the study will induce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discussing the Marxian concept of superstructure and the Gramscian concept of hegemony. Lastly, it will deal with the material forms of ideology conjoined with the coercive dimen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ims to cast light on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 of coercion and legitimation in the analysis of domination, while conceiving that the governed are not simple recipients of ideology, but rather active cognitive subjects.

한국어

지난 수십 년 동안 현대 사회 지배관계의 유지와 재생산에 관한 논쟁에서 강제와 정당화 사이의 지속적인 이론적 동요를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권력의 두 주요 작동양식 간의 관계가 여전히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지배의 강제적 차원과 이데올로기를 통한 정당화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애버크롬비와 그의 동료들이 제기한 이데올로기의 전달 문제라는 쟁점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마르크스의 상부구조와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검토하면서 강제와 정당화의 상호적 관계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요소들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알튀세르가 제시한 ‘이데올로기의 물질성’을 ‘강제와 이데올로기의 역동적 조합’으로 재개념화 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개인을 지배이데올로기의 일방적인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인 인식 주체로 고려하면서, 지배메커니즘에서 강제와 정당화 간의 상호의존적 성격을 강조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이데올로기의 전달과 수용
3. 마르크스 이론에서 이데올로기와 지배구조의 관계
4.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에서 강제와 동의의 관계
5.  ‘이데올로기의 물질성’에서 ‘강제와 이데올로기의 역동적 조합’으로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기라 Lee, Gira.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