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왕부지의 困卦 『大象傳』 풀이와 그 君子觀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Wang Fuzhi's interpretation of 'Daesangjeon(大象傳)' of gon-gwae(困卦) and his view of gunja(君子)

왕부지의 곤괘 『대상전』 풀이와 그 군자관 고찰

김진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s the unique and original aspect revealed in Wang Fuzhi's interpretation of 'Daesangjeon(大象傳)' of gon-gwae(困卦) and the present significance of his view of gunja(君子觀) revealed therein. Wang Fuzhi is giving out a completely different solution from the previous ones in the analysis of gon-gwae(困卦)'s 'Dasangjeon'. In this thesis, what meaning is contained in his interpretation, what is the background that gave birth to this interpret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his view of gunja(君子觀) revealed here to us today is considered. In order to compare Wang Fuzhi's interpretation, I first considered the interpretations of 'Dasangjeon' of the previous and later generations. Then, the interpretations of 'Juyeoknaejeon(周易內傳)' and 'Juyeokdaesanghae(周易大象解)' were studied in turn. This is because his unique and original solutions are revealed in these interpretations. To summarize this, first, '澤无水'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pond has lost the water', and if this is applied to the gunja(君子), the difficult situation symbolized by this gon-gwae(困卦) depends on the active and subjective decision of the gunja(君子). that it was brought about. Second, therefore, the gunja(君子) has to endure this difficult situation, rather, he sees this difficult situation as a condition for achieving his will. Therefore, the gunja(君子) should refuse to cooperate with the world where the forces of yin (--) cover and call the gunja(君子) symbolized by yang (ㅡ). In this paper, we traced the background of why Wang Fu-ji interpreted 'Daesangjeon(大象傳)’ of gon-gwae(困卦) in this way, and also discussed the present significance of his view of the gunja(君子) revealed in this interpretation to us today.

한국어

본 논문은 왕부지의 困卦 『대상전』 풀이에 드러난 독특하고 독창적인 면과 거기에서 드러내고 있는 君子觀의 현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왕부지는 곤괘 『대상전』 풀이에서 역대 제가의 풀이와는 완전히 결을 달리하는 풀이를 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풀이에 어떤 의미가 들어 있고, 이러한 풀이를 낳은 배경이 무엇이며, 여기에서 드러내고 있는 군자관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왕부지의 풀이를 비교하는 차원에서 먼저 역대 제가의 『대상전』 풀이를 고찰하였다. 그리고는 『주역내전』, 『주역대상해』의 풀이를 차례로 고찰하였다. 이들 풀이에서 그의 독특하고 독창적인 풀이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澤无水’는 ‘연못이 물을 없애버렸다’라고 풀이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군자에게 적용해보면 이 곤괘가 상징하는 곤궁한 상황이 군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결단에 따라 초래된 것이라 하는 점이다. 둘째, 그러므로 군자는 이 곤궁한 상황을 감내해야 하고, 오히려 이 곤궁한 상황이 그의 뜻함을 이루게 하는 조건이라 본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음(--)의 세력들이 양(ㅡ)이 상징하는 군자를 가리고 발호하는 세상에의 出仕와 이들에 대한 협조를 거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왕부지가 왜 곤괘 『대상전』을 이렇게 풀이하는지 그 배경을 추적해보았고, 아울러 이 풀이 속에서 드러내고 있는 그의 군자관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주는 현재적 의의를 논하였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곤괘 의 『대상전』 및 역대 제가의 풀이 고찰
3. 왕부지의 곤괘  『대상전』풀이 분석
4. 왕부지의 곤괘  『대상전』풀이 배경과 그 군자관의 현재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근 Kim, Jin Kun.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