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교기반 시민생태운동에서 협동조합주의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한국천주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ritical Study on the Role of Cooperativism in the Religious-Based Civil Ecological Movement : Focusing o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유광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 modern civil society facing a climate ecological crisis, religion is drawing attention again from academia and the state as a major social entity that will provide ecological citizenship that can function as an ethos for the coming ecological civil society. These social expectation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religious-based life community movements, and representatively,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led Korea's life community movements by utilizing cooperativism actively. Focusing on the affinity of Korean Catholicism and cooperativism, the paper examines why and how religion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ism and labor unionism in Korea,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ssociation of Catholic Farmers and rapid development of cooperatives as a major example. Conclusively, this paper is trying to critically reflect on som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ism which presupposes different activities and purposes of religious relief, and further the issue of ecological inequality.

한국어

기후생태위기에 직면한 현대시민사회에서 종교는 생태적 시민사회의 에토스(ethos)로 기능할 수 있는 생태적 시민성을 제공할 주요한 사회적 주체로서 학계와 국가로부터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대는 종교기반 생태(생명)공동체 운동들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한국천주교는 협동조합주의를 활용하여 한국의 생명공동체운동을 선도하여 왔다. 논문은 한국천주교와 협동조합주의의 친화성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주의의 발전에 한국천주교가 어떻게 관계했는지를 사회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특히 가톨릭농민회와 협동조합의 관계 및 그 발전 배경을 주요한 사례로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논문은 이러한 양자의 친화성을 무비판적으로 당연시하고 개념적 차원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종교와 시민사회의 대립적 속성 및 종교적 구제사업과 협동조합주의의 이념적 부조화에 주목하면서 양자의 친화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재검토를 시도하고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기존 연구와 그 한계
3. 종교기반 협동조합주의와 한국천주교
4. 비판적 고찰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광석 Yoo, Kwang Suk. 경희대학교 종교시민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