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융합 무용작품의 미학적 함의 - 에리카 피셔-리히테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esthetic Implication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Dance Works - Focused on Erika Fischer-Lichte’s concept of Performativity -

김연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related to technology convergence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technology and analysis of works. Now is the time to go beyond analysis of works and technical concepts, and to discuss aesthetic and artistic aspects of technology convergence dance works.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look at various currently attempted technological fusion dance works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the technical fusion dance work, and it is analyzed with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of the contemporary philosopher Erica Fischer-Lich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 communal presence in the here and now. Technological fusion dance performance broadens the scope of community presence, and has a performative aesthet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realized to directly see and feel the community presence. Second, it has the self-productivity of movement sense. A responsive force is created between the robot's movement and the dancer's movement, forming a feedback loop between the micro-perceptions in the human movement and the sensors that the robot attempts to capture the human movement. In doing so, we have aesthetic implications for the power of movement and new senses that arise in a new relationship that we have never felt before. Third, it has the eventuality of borderline experience. Technological convergence dance works have aesthetic implications in that they provide a borderline experience by placing them between the dichotomous concepts of reality and virtuality, while allowing a new perspective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dancers' movements.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fusion dance work contains various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Performativity as described by Erica Fischer-Lichte, and shows novelty to the audience through various attempt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artistic expression. In this flow, we need to find new meanings by expanding the scope of various time and space, various movements, and various senses beyond our view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한국어

기술융합 관련 무용공연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기술적 활용에 초점을 맞춘 작품 분석이 주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기술적 활용에 대한 작품 분석뿐 아니라 기술융합 무용 작품에 대한 미학적, 예술적 논의 역시 관련 분야의 다각적인 연구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하게 시도되는 기술융합 무용 작품들 의 미학적 함의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현대철학자 에리카 피셔- 리히테의 수행성 개념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 었다. 첫째, 지금, 여기, 공동체적 현존성을 가진다. 기술융합 무용 공연은 공동체적 현존 성의 범위를 넓혀 주며, 공동체적 현존성을 직접적으로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행적인 미학적 함의 가진다. 둘째, 움직임 감각의 자기 생산성을 가진다. 로봇의 움직임과 무용수의 움직임 사 이에 발생하는 감응적 힘이 생겨나면서 인간의 움직임 속에 있는 미세 지각과 로봇이 인간의 움직임을 포착하려는 센서 간의 피드백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서 우리 는 지금까지 느끼지 않았던 새로운 관계 속에 생겨나는 움직임의 힘, 새로운 감각들에 대한 미학적 함의를 가진다. 셋째, 경계적 경험의 사건성을 가진다. 기술융합 무용 작품은 현실과 가상의 이분 법적 개념 사이에 놓이게 하여 경계적 경험을 제공하면서 무용수 움직임에 대한 본질적 특성을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는 점에서 미학적 함의 가진다. 이와 같이 기술융합 무용 작품은 에리카피셔-리히테가 말하는 수행성의 개념적 특 성들을 다양하게 내포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 방식의 예술 표현이 아닌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관객에게 새로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우리가 전통적 무용 공 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 다양한 시공간, 다양한 움직임, 다양한 감각들의 범위를 넓혀 관계하며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무용과 기술융합의 흐름
Ⅲ. 현대 예술에서 수행성의 개념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재 Kim, Yeon-Jea. 서울대학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