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상융합 무용 생태계의 가능성과 쟁점

원문정보

The Potential of XR-Dance Ecosystem

정우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XR-dance ecosystem converged with physical and virtual world and to discuss the potential of new value network in dance industry. To verify the XR-dance ecosystem that combines physical and virtual experiences and to connect the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in dance,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Based on service value network model, the current Dance Ecosystem (As-Is) and the XR-Dance Ecosystem (To-B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s-Is model did not show a link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ory dance market, and in XR-Dance Ecosystem (To-Be), new stakeholders were included at each stage. In creation, dance expression in virtual space and content IP were included, in planning/production, content producers appeared, and in distribution, a real-time virtual platforms appeared. In consumption, the audience in the performance and dance participants were expected to be integrated and form a community in the virtual platforms, and IT companies have been added in service provider to support the platforms. Finally, XR-dance ecosystem creates new opportunities through the service value networks.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implementing the physical liveness in virtual space is a new challenge.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dance industry converged with techn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실감기술의 고도화로 가상과 현실의 경험이 혼재되는 가상융합 시대의 무용 생태계를 조망하고, 새로운 가치흐름에 대한 가능성과 쟁점을 논의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현실과 가상이 융합되고 공연산업과 참여시장이 연결된 무용 생태계를 제 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서비스 가치 네트워크 모델을 적용하여 현재 무용 생태계(As-Is)와 가상융합 무용 생태계(To-Be)를 도출 하였다. 분석결과 As-Is 모형에는 공연시장과 참여시장 간의 연결 흐름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상융합 무용 생태계(To-Be)에서는 각 단계에 새로운 이해관계자가 포함 되었다. 창작 단계에는 가상공간의 무용 표현과 콘텐츠 IP가 포함되었고, 제작 단계 에는 무용 관련 콘텐츠 제작사가, 유통 단계에는 가상세계 무용 활동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등장하였다. 소비 단계에서는 공연시장의 관객과 참여시장의 무용 참여자가 가상 플랫폼을 통해 통합됨으로써 창작과 정보 생산, 사회적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서비스 지원 단계에서는 가상세계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IT 업체들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가상융합 무용 생태계는 무용산업 각 주체들의 상호 의존적 연결을 통해 새로운 기회와 가치가 창출되고, 특히 공연 관람과 직접 참여의 소비 영역이 활성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체적 라이브니스 요소들을 가상공간 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가상융합 생태계의 쟁점이자 새로운 도전으로 작용함을 논 의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융합시대의 무용산업의 방향성과 기술융합을 통한 가치를 정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가상융합 무용 생태계 모형 도출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우정 Jung, Woo-Jung.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