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래동화 <팥죽할멈과 호랑이>에 나타난 민속학적 요소의 다층적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folklor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 <The Red Bean Porridge Grandma and the Tiger>

최성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field of folklore studies and suggest new research directions by finding and analyzing folklore elements such as customs, and religious elements of fairy tales.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been created based on folk tales which is an important folklore material, and they have been changed and reborn to suit young readers. Considering that fairy tales are about the past and contain our own folklore elements, it can be a new area of ​​folklore research where we can find our roots, and also it can be a tool to inform children about the past easily and in a fun way. The traditional fairy tale analyzed with attention in this study is .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ndmother, the character who tries to save the grandmother by eating red bean porridge, and the tiger who tries to eat the grandmother.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winter solstice (Dongji) and the red bean porridge through the above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In the past, making and eating the red bean porridge on the winter solstice meant getting rid of evil spirits, therefore the tiger in the story can be viewed as an evil spirit. The Korean folk belief reflected in this story, the residential religion especially the kitchen god (Jowang) can be found through the two elements which are the effort to expel the evil tiger who visited the grandmother's house and the kitchen as the background of the story. The residential gods of the residential religions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family by articulating each other without dividing their assigned positions and roles. Through the fact that she believed in the residential religion and the subject of the ritual was a woman, the grandmother who is the main character in the story can be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of all the residential god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ory can be interpreted as the story of the residential gods who play each role under the leadership of their representative, the grandmother, working together to kill the evil tiger. The tiger is an animal with two meanings. It is an animal that drives away evil spirits and means great calamity or misfortune. The tiger in the story is both a bad misfortune and a wrong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folklore that folklore is fantasy, this story can be seen as a story about the realization of fantasy. As a first step to finding out folklore elements contain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possibilities of folklore research methods by examining the roles and meanings of the winter solstice, red bean porridge, and residential religion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

한국어

본 연구는 전래동화가 갖는 고유한 사상과 풍습, 종교적, 사회적 요소와 관련하여 민속학적 요소를 찾아 민속학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동안 중요한 민속자료인 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래동화는 어린 독자에 맞게 변화되고 새롭게 재탄생되었다. 전래동화가 과거를 배경으로 하며 우리 고유의 민속과 사상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음을 보았을 때 전래동화는 우리의 뿌리를 찾을 수 있는 민속학 연구의 새로운 영역이자 어린이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과거를 알려줄 도구 또한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여 분석한 전래동화 작품은 <팥죽할멈과 호랑이>이다. 이야기 속 할머니와 팥죽을 청해 먹고 할머니를 구하려는 등장인물 그리고 할머니를 잡아먹으려는 호랑이의 관계라는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위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이야기의 시점이자 소재인 동지와 팥죽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한다. 과거부터 동짓날 팥죽을 만들어 먹는 것은 역귀를 없애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야기 속 호랑이 역시 없애야 하는 부정적 의미로 볼 수 있다. 할머니 집에 방문한 호랑이를 내쫓기 위한 움직임과 배경이 부엌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이야기에 반영된 우리나라 민속신앙인 가신신앙과 그중 조왕신을 찾을 수 있다. 가신신앙의 가신들은 각자의 정해진 위치와 역할을 나누거나 구별하지 않고 서로 절합되어 가정의 안녕을 빌었던 종교였기에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은 각자 가신을 상징화한 것으로 할머니와 가정의 안녕을 위해 역할을 함께 수행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신신앙을 믿고 의례 주최자가 여성이었던 것을 통해 이야기 속 주인공인 할머니는 모든 가신을 아우르는 가신들의 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 이야기는 가신의 대표인 할머니의 진두지휘 아래 각 역할을 하는 가신인 등장인물들이 서로 힘을 합쳐 호랑이를 처단하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호랑이는 양가성을 갖는 동물로 악귀를 쫓는 벽사적 의미를 갖기도 하지만, 자연의 큰 재난 또는 재해로 생각하는 맹수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 중 이야기 속 호랑이는 나쁜 불행인 동시에 잘못된 권력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에 담겨 있는 민속학적 요소들을 찾기 위한 첫걸음으로 <팥죽할멈과 호랑이>를 통해 세시풍속인 동지와 팥죽 그리고 가신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주요 서사구조를 사회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민속학 연구 방법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전래동화의 민속학적 요소
III.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서사구조와 세시풍속
IV.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가신신앙
V.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사회비판적 관점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성미 Choi, Seongmi. 고려대학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